예금금리 오른다 좋아했는데… 대출금리 더 올라 영끌족 '울상'
[편집자주]4%대 정기예금 상품이 다시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7개월째 3.50%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기예금 금리가 올 4월 기준금리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후 지난 7월 들어 슬금슬금 오르는 형국이다. 예금금리 상승은 곧 대출금리 상승을 부추겨 그만큼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으로 이어진다. 이미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 1월 수준으로 회귀하며 다시 높아지는 추세다. 수신금리 인상으로 무작정 웃을 수 만은 없는 상황인 셈이다.
① 기준금리 동결에도… 4%대 정기예금 재등장
② 다시 열린 연 4%시대...저축은행 연 4.5% 예금도 속속
③ 예금금리 오른다 좋아했는데… 대출금리 더 올라 영끌족 '울상'
시중은행에서 연 4%대 예금이 잇따라 재등장하고 있지만 대출자들은 마냥 웃을 수 없는 상황을 마주했다.
한국은행이 4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오르고 있는데다 은행 예금금리 상승이 대출금리 추가 상승 압력을 더 키우기 때문이다.
━
앞서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올 1월17일 4.69~7.43%를 기록한 이후 지난 1월30일 4.49~6.96%로 하락한 점을 감안하면 금리 수준이 6개월 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과 마찬가지다.
약 두달 전인 지난 5월16일 이들의 주담대 변동금리가 3.97~6.79% 수준이었음을 고려하면 금리 하단이 0.38%포인트 뛰며 3%대 금리가 사라진 것이다.
일부 시중은행 주담대 최고금리는 7% 선을 넘기도 했다. 지난 25일 기준 하나은행의 '하나 변동금리 모기지론' 최고금리는 1년물 은행채 기준 7.042%로 집계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조금씩 오르는 추세"라며 "한국 기준금리가 동결돼도 코픽스도 계속 오르고 있어 이는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주담대 변동금리가 상승한 것은 준거금리인 코픽스의 영향을 받은 결과다.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 금리는 올 4월 3.44%까지 떨어졌다가 5월 3.56%로 반등하기 시작해 6월 3.70%까지 올랐다.
코픽스는 농협, 신한, 우리, SC제일, 하나, 기업, KB국민, 한국씨티은행 등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상승 또는 하락한다.
━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월20일 기준 678조5700억원으로 6월 말(678조2454억원) 대비 3246억원 늘었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2022년 1월부터 지난 4월까지 감소세를 이어갔지만 5월(677조6122억원) 전월 대비 1431억원 늘어나기 시작한 것을 기점으로 6월에는 6332억원 증가한데 이어 7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대출 잔액이 늘어난 것이다.
가계대출 증가는 주담대가 견인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담대 잔액은 512조3397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9389억원 늘었다. 전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월 말 1062조3000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5조9000억원 늘어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 모두가 기준금리 3.75% 가능성을 열어뒀다며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고 있지만 경기 둔화와 금융불안이 커진 탓에 실제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운 교착 상태에 빠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시각이다.
이 총재는 7월13일 기준금리를 3.50%으로 동결한 뒤 늘어나는 가계부채를 한국 경제의 불안 요소로 꼽기도 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 회의에서도 여러 위원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 큰 우려를 표했다"며 "가계부채가 계속 늘어난다면 우리 경제의 큰 불안 요소"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과 영향, 연착륙 방안' 보고서를 내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예외 대상 축소와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수준별 차등 금리 적용, 만기 일시상환 대출 가산금리 적용 등으로 완만한' 디레버리징(부채 감축)을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5.0%로 BIS(국제결제은행) 조사대상국인 43개국 중 스위스(128.3%), 호주(111.8%)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자 증가로 가계의 가처분소득이 줄 수밖에 없고 물가 상승으로 실질소득까지 감소하고 있다"며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화가 급격화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의 정책 대응이 필요한 때"라고 설명했다.
박슬기 기자 seul6@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교사 달달 볶아 아들에 짜증?"… 주호민, '아동학대' 고발한 이유 - 머니S
- "박은빈인줄?" …'나는 SOLO' 돌싱 16기 옥순, 미모 美쳤다 - 머니S
- 중국인 단체 방한 풀리나… 제주관광, 한중관계 회복 기대 - 머니S
- 초등학생 팬 손길에 뒷걸음질… 아이브 장원영, 비난받을 일? - 머니S
- "베란다서 계속 흡연하겠다"는 아랫집… 전동 안마건으로 응징한 사연 - 머니S
- [Z시세] '실내생활' 고양이 vs '산책하는' 강아지… 양육 비용은? - 머니S
- "고지용 맞아?" 근황 공개하자… 팬들 '충격' - 머니S
- 이재용 직접 나섰다… 삼성전자 미래 먹거리 '차량용 반도체' - 머니S
- '힙통령' 장문복 근황 '화제'… "생계 위해 공사판·택배 상하차" - 머니S
- 유재석 미담 또?… 이동욱 "젠틀하고 사려 깊어"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