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죽하면”…정신질환 앓는 자녀 몸에 문신 새긴 부모들 증가[여기는 베트남]

2023. 7. 29. 18: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베트남인인 탄 씨(62,남)는 문신 가게에 딸을 데려가 팔에 '정신 질환'이라는 단어와 함께 본인의 연락처를 문신으로 새겼다.

결국 탄 씨는 마지막 해결책으로 딸의 팔에 연락처 문신을 새기면서 애통함을 느꼈다.

지난 2019년 당시 15살의 아들 팔에 문신을 새긴 빈 씨는 "숱하게 밤잠을 못 이루면서 고민했지만 결국 아들 팔에 연락처 문신을 새길 수밖에 없었다"면서 "무척 고통스러운 결정이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정신 질환을 앓는 아들의 왼팔에는 이름과 주소를, 오른팔에는 연락처를 문신으로 새겼다(사진-VN익스프레스)

최근 베트남인인 탄 씨(62,남)는 문신 가게에 딸을 데려가 팔에 ‘정신 질환’이라는 단어와 함께 본인의 연락처를 문신으로 새겼다.

탄 씨의 딸 후엔(38)은 15살 때부터 정신질환을 앓아왔는데, 출산 직후 산후 우울증이 겹치면서 정신질환은 더욱 심각해졌다. 종종 물건을 부수고, 거리를 방황했다. 치료를 위해 정신병원에 입원 치료도 시켰지만, 상황은 호전되지 않았다. 방에 가두어도 집 밖으로 탈출해 가족들이 한 달 내내 찾으러 다닌 적도 있다.

딸의 목에 연락처 명패를 걸어주고, 옷에 메모를 붙여줘도 몸에 부착된 모든 물건을 떼어버리기 일쑤였다. 결국 탄 씨는 마지막 해결책으로 딸의 팔에 연락처 문신을 새기면서 애통함을 느꼈다.

호치민에 사는 코아 씨(40,남)도 지난 6월 중순 17살 아들의 팔에 본인의 전화번호를 문신으로 새겼다. 아들은 한 살 때 계단에서 넘어지면서 뇌 질환을 앓았다. 학교에서도 센터에서도 아들을 받아주지 않았다.

부부가 교대로 집 안에서 아들을 돌보았지만, 잠시 한눈을 팔면 아들은 집을 나가 버렸다. 결국 코아 씨는 아들의 팔에 연락처를 문신으로 새기는 것이 아들을 찾는 해결책이라고 여겼다.

코아씨는 지난달 15살 아들의 팔에 부모의 연락처를 문신으로 새겼다(사진-VN익스프레스)

지난 2019년 당시 15살의 아들 팔에 문신을 새긴 빈 씨는 “숱하게 밤잠을 못 이루면서 고민했지만 결국 아들 팔에 연락처 문신을 새길 수밖에 없었다”면서 “무척 고통스러운 결정이었지만 어쩔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아들의 오른팔에는 이름과 집 주소를, 왼팔에는 부부의 전화번호를 새겼다.

문신 전문가 투안 씨는 “정신 질환자에게 문신을 새기는 경우가 늘고 있다”면서 “문신이 많은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전했다. 대도시와 지방 도시의 많은 문신 시술소에서도 비슷한 사례들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 열린 정신건강 세미나에서 보건부 대표는 “베트남 인구의 약 15%(1350만 명)가 정신질환을 앓고 있지만, 이 중 70~80%는 제대로 병을 인지하거나 치료하지 않고 있다”면서 “가족에게 부담이 될 뿐 아니라, 일부 심각한 경우에는 사회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베트남 교육심리협회의 응웬 텅 람 부회장은 “환자의 정기적 검사와 약물 사용을 추천하지만, 문신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아이의 사생활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브 뚜 흐엉 박사는 “정신 질환자들은 착용한 물건을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문신으로 연락처를 새기는 것은 환자 본인뿐 아니라 사회에도 도움이 되는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아들의 팔에 연락처를 문신한 코아 씨는 “아들의 팔에 문신을 새긴 날부터 출근길이 조금 가벼워졌다”면서 “늘 아들을 잃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 속에서 살았는데, 이제 조금은 마음이 놓인다”고 밝혔다.

이종실 동남아 통신원 litta74.lee@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