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럽고 귀가 먹먹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느껴진다면...

권대익 2023. 7. 29. 17: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메니에르병은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회전성 어지럼과 함께 청력 저하, 귀가 먹먹하고 가득 찬 듯한 이충만감, 이명 등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20분에서 12시간까지 지속되는 자발성 회전성 어지럼이 2회 이상 발생하면서 어지럼이 있을 때 증상이 있는 귀 청력 검사로 저주파수 대역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1회 이상 확인되고, 변동성 난청, 이명, 이충만감 증상이 동반되며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건강이 최고] 메니에르병, 최근 10년 새 2배 늘어
게티이미지뱅크

메니에르병은 주변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회전성 어지럼과 함께 청력 저하, 귀가 먹먹하고 가득 찬 듯한 이충만감, 이명 등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메니에르병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최근 10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세아 순천향대 부천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메니에르병과 헷갈릴 수 있는 질환은 재발이 잘 되는 회전성 어지럼을 특징으로 하는 이석증과 편두통성 어지럼이 있다”며 “이석증은 일반적으로 청각 증상이 동반되지 않지만, 편두통성 어지럼은 어지럼과 함께 40% 정도의 환자에서 청각 증상도 호소하므로 구별이 더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메니에르병 발병 원인은 내이수종(Endolymphatic hydrops)이다. 귀에는 청각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前庭器官·vestibular organ·평형기관)이 있다.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에는 내림프액이 순환하고 있다. 이 내림프액은 매일 일정한 양이 만들어지고, 흡수돼 일정한 농도와 양이 유지된다. 어떤 이상이 생기면 내림프액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내이수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회전성 어지럼과 청각 증상이 나타난다.

메니에르병은 한 번에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보다 반복적인 병력 청취, 청력 검사, 전정 기능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20분에서 12시간까지 지속되는 자발성 회전성 어지럼이 2회 이상 발생하면서 어지럼이 있을 때 증상이 있는 귀 청력 검사로 저주파수 대역의 감각신경성 난청이 1회 이상 확인되고, 변동성 난청, 이명, 이충만감 증상이 동반되며 이러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

메니에르병을 치료하려면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회전성 어지럼 빈도와 강도를 줄여 일상생활 불편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 생활 습관 교정과 함께 이뇨제, 베타히스틴(betahistine) 등 약물 치료만으로 80% 정도 환자가 증상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약물 치료 효과가 없다면 청력에 따라 고실(鼓室)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을 시행하거나, ‘겐타마이신’이라는 이독성 약물을 고실 내 주입해 남은 전정(평형) 기능을 파괴하고 어지럼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전정 신경을 자르거나, 미로절제술 등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아직까지 메니에르병의 진행 과정을 막고, 청력이나 전정 기능 저하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 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생활 습관 교정이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육체‧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며, 염분 섭취는 줄이고 수분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다. 술·담배·카페인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세아 교수는 “메니에르병은 한 번 치료로 완치를 기대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본인이 반복적인 어지럼이 있고, 귀 먹먹함, 이명, 청력 저하 같은 동반 증상이 있다면 이비인후과에서 정확하게 진단받고 빠르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