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도시’ 부산]④ 환경 피해로 건강 우려 120곳…관리 대책은?

황현규 2023. 7. 28. 22: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부산] [앵커]

부산의 주요 질병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이유를 추적해 해법을 찾아보는 KBS 연속 보도, 오늘은 끝으로 건강과 떼놓을 수 없는 환경·보건 정책을 짚어봅니다.

부산에는 환경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된 지역이 100곳 넘게 있는데요,

어떤 관리 대책이 필요할지, 황현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염전을 일궈 소금을 만들던 부산의 한 어촌 마을입니다.

이젠 해안가를 메워 조성한 공단과, 컨테이너를 실은 선박이 드나드는 항만에 에워 쌓였습니다.

마을과 인접한 도로로 대형 화물차도 끊임없이 오갑니다.

부산시 환경보건센터가 이 마을의 대기오염을 측정하고, 주민 건강을 조사하는 이유입니다.

[김태상/부산 강서구 송정마을 통장 : "바람이 마을 쪽으로 불기 때문에 공단에 있는 오염된 대기라든지, 그런 것들이 동네 쪽으로 밀고 오기 때문에 주민들께서 공기가 너무 안 좋고, 살기 힘들다고 얘기하십니다."]

이곳처럼 환경 피해 가능성이 커 주민들의 건강이 우려되는 지역을 살펴봤습니다.

환경부는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4개 등급으로 나눠 분류했는데요,

주거지와 가까운 곳에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공장이 있는지, 또 유해 화학물질의 배출량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조사한 결과입니다.

부산의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큰 1~2등급 지역이 모두 4곳인데요,

사하구와 사상구, 영도구, 금정구에서 1곳씩 포함됐습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 3~4등급으로 평가된 곳은 10개 구·군에 걸쳐 모두 116곳인데요,

강서구 41곳, 사상구 28곳, 사하구 14곳, 기장군 10곳 순입니다.

환경 피해 취약 지역의 경우 폭넓은 실태 조사로 오염원을 파악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허종배/부산연구원 연구위원 : "그(환경 피해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배출 시설들에 대한 배출 현황이라든지, 농도라든지, 확산 범위라든지, 주변 지역의 건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추적, 조사할 필요가 있고, 대응책을 핀셋처럼 지역적으로 다르게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보건법도 개정했습니다.

광역자치단체가 지역의 환경보건계획을 수립하는 등 역할과 권한을 강화했고, 역학조사 등에 따라 환경 유해 요인을 관리하게 했습니다.

[이근희/부산시 환경물정책실장 : "이 법이 당장 어떻게 해결해 준다는 것보다는 5년, 10년 장기간 모니터링(조사) 하는 게 굉장히 중요하거든요. 그래서 이런 질병의 원인이 있다면 거기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저희들이 놓치지 않고 구제를 하고 또 조치하는 게 맞는다고 봅니다."]

하지만 서울시와 달리 부산시는 환경·보건과 건강 정책을 각각 다른 부서에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의 건강지표를 개선하려면 부서 간 벽을 허무는 것도 중요합니다.

[홍영습/부산시 환경보건센터장/동아대 의대 교수 : "환경사업도 사람 중심, 건강사업도 환경과 연계되는 이러한 통합적으로 같이 머리를 맞대고 노력을 해야 지금 수십 년째 우리 부산 지역의 건강지표가 낮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는 길이 열리지 않겠느냐…."]

부산시는 환경과 건강 분야 공무원, 교수 등 전문가가 모두 참여해 건강영향조사 등을 심의하는 환경보건위원회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황현규입니다.

촬영기자:정운호/그래픽:김희나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