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오력’ 안하면 인생 끝이지?...‘1만시간의 법칙’이 가져온 누명 [Books]

김지한 기자(hanspo@mk.co.kr) 2023. 7. 28. 19: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력의 배신 / 김영훈 지음 / 21세기북스 펴냄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1만시간의 법칙. 미국 작가 말콤 글래드웰은 저서 아웃라이어에서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최소 1만 시간 정도 투자해야 한다는 이 이론을 소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누구든 많은 시간을 할애해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는 노력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에서 많은 지지를 얻었다. 한동안 “하루 3시간씩 10년 동안 투자하면 1만시간의 법칙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이 자주 회자됐을 정도였다.

그러나 1만시간의 법칙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노력만 강조한 게 아니었다.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을 만큼 몰입할 기회와 환경도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함께 담겼다.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랐던 빌 게이츠는 고등학생 때부터 당시 대학생도 사용하기 힘든 최신 컴퓨터를 활용하면서 컴퓨터와 관련한 기회를 얻고 경험을 쌓았다. 재능을 꽃피우게 한 환경이 성공을 이끌었다는 의미다.

다만 ‘1만시간’이 강조된 탓에 단순히 시간을 투자해 노력만 하면 뭐든 해낼 수 있다고 오해한 사람이 많다. ‘노력의 배신’을 쓴 김영훈 연세대 심리학과 교수는 이렇게 노력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진리처럼 믿다시피 하는 ‘노력 신봉’ 사회를 비판한다. 노력만으로 모든 걸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절대적으로 많은 우리 사회의 시각을 바꿔보자는 제안이 담겼다.

노력만이 살 길이고, 노력이 모든 사람의 희망이라고 생각한 독자 입장에서는 “그럼 노력하지 말라는 말인가”라는 질문이 저절로 떠올려진다. 저자는 “노력의 가치를 깎아내리려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다만 노력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병폐를 낳았다고 꼬집는다. 경쟁이 심화된 사회에서 노력하고도 실패하면 “난 최선을 다해도 안 되는 사람”이라며 자책하고 자괴감에 빠진다. 그러면서 한 개인의 책임에만 집중하게 되는 반면, 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적인 책임에는 무감각해진다.

저자는 “노력하더라도 실패할 수 있고,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걸 인정하자는 것이다. 실패하면 다른 길을 찾을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다양한 자질과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살 수 있는 사회적 환경과 구조를 만들자는 메시지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