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아프리카의 우크라 평화제안 신중하게 검토중"

조성흠 2023. 7. 28. 18: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아프리카의 평화 제안을 존중하고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위기는 심각한 문제이고 우리는 논의를 피하지 않는다"면서 이처럼 밝혔다고 로이터, 스푸트니크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아프리카 정상회의 연설…"더이상 선진국이 중재제안 독점 못해"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 리셉션서 연설하는 푸틴 (상트페테르부르크 AFP·타스=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정상들을 기리는 리셉션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수반 17명이 참석하는 이번 정상회의는 오는 28일까지 이틀 동안 열린다. [마케팅 및 광고 금지] 2023.07.28 ddy04002@yna.co.kr

(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대한 아프리카의 평화 제안을 존중하고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위기는 심각한 문제이고 우리는 논의를 피하지 않는다"면서 이처럼 밝혔다고 로이터, 스푸트니크 통신 등이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이전까지는 어떤 중재 제안도 소위 선진 민주국가들이 독점했으나 이제는 아니다"라며 "이제 아프리카 역시 자신들의 주요 이해관계 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준비가 돼 있다. 이는 그 자체로 많은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을 비롯한 아프리카 국가 지도자들로 구성된 아프리카 평화사절단은 지난달 16~17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차례로 방문해 분쟁 완화와 즉각적인 협상 개시, 흑해 곡물 운송로 개방, 전쟁 포로 교환 등을 골자로 한 평화 제안을 제시하며 우크라이나 사태 중재에 나섰다.

그러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의 철수 없이는 협상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고,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대화를 거부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하는 등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푸틴 대통령은 전날 아프리카에 대한 곡물 최대 5만t 무상 제공 계획을 밝힌 데 이어 이날도 아프리카에 대한 식량 공급을 늘리고 있다면서 올해 상반기 아프리카에 공급한 곡물량이 지난해 전체(1천150만t)에 육박하는 1천만t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회의에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튀르키예, 유엔과 맺은 흑해곡물협정을 통해 수출된 우크라이나 곡물 대부분이 유럽 국가로 향했다면서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를 위선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아프리카의 안보 강화를 위해 무기를 무상으로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 아프리카 사법 및 정보기관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군사 협력 강화 의지를 강조했다. 러시아는 최근 무장반란을 시도한 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을 통해 10년 넘게 아프리카 각국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구체적인 시기나 대상 등은 언급하지 않은 채 아프리카에 대해 230억 달러 부채를 탕감해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아프리카에서 영향력 확대를 위해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러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를 열었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는 아프리카연합(AU) 회원국 54개국 중 49개국이 참여했지만 국가 수반이 직접 참석한 곳은 17개국에 불과해 2019년 첫 회의 때와 비교하면 정상 참석 규모가 절반에도 못 미쳤다.

jos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