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에 시달리는 디지털보험사, 매물로 나오나

강한빛 기자 2023. 7. 28. 06:1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새 주인 기다리는 보험사들②] '종합금융그룹' 마지막 퍼즐로 눈독

[편집자주]보험업계에 M&A(인수합병)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자금력을 갖춘 대형 금융지주들이 M&A에 적극 나서면서 KDB생명과 동양·ABL생명, 롯데·MG·악사손보 등 매물로 나온 보험사들도 주인이 바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가장 먼저 구체화하고 있는 곳은 KDB생명이다. 2010년 산업은행에 인수된 KDB생명(구 금호생명)은 13년만에 하나금융지주를 새 주인 후보로 맞았다. 롯데손보도 대주주인 JC파트너스가 매각을 내년 10월 전까지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이다. 이제 보험권 M&A 바람은 원수 보험사를 넘어 디지털 보험사와 GA(법인보험대리점)로도 확산되고 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기사 게재 순서
① KDB생명, 하나금융 품으로?… 보험권에 부는 M&A바람
② 적자에 시달리는 디지털보험사, 매물로 나오나
③ 보험권 M&A 불씨, GA업계로도 번졌다… 새 트렌드로 자리잡나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이 지난해 10월 공식 서비스를 선보인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교보생명과의 지분매각설에 휩싸였다. 보험업계 판도를 바꿀 '메기'로 시장에 당당히 등장했지만 출범 후 한 해 동안 그럴싸한 성과를 내지 못하자 매각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 중장기 성장 기회를 모색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졌다. 카카오페이손보는 이와 관련해 선을 그은 상태지만 디지털손해보험업계 난항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사업모델 전환 필요성이 커지면서 업계는 이후 카카오페이손보와 디지털보험사들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카카오페이손보, 메기에서 매물로 전락?


최근 보험업계에서는 교보생명과 카카오페이손보가 최대 관심사였다. 교보생명이 카카오페이손보 지분 인수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카카오페이손보가 교보생명에 지분 일부를 매각한 이후 양사가 악사손보를 공동 인수한다는 시나리오까지 돌았다.

교보생명의 카카오페이손보 지분 인수 시나리오는 두 보험사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지며 힘을 받았다. 카카오페이손보는 디지털손보사로 야심차게 출범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고 교보생명은 금융지주사 전환을 추진하고 있어 각사의 요구가 잘 맞아떨어진다는 진단에서다.

카카오페이손보는 지난해 10월 공식 개점한 이후 금융안심보험을 출시한데 이어 올해 5월 홀인원보험, 6월 해외여행보험 등을 출시한 상태지만 업계에서는 기존 상품과 사실상 차별성이 없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실적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22년 261억원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엔 85억원 손실을 냈다. 당초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말을 기점으로 카카오페이손보의 수익성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진단했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현재 카카오페이손보는 선을 그은 상태다.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는 지난 5월 실적발표 자리에서 "지분을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넘기는 방안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한 데 이어 카카오페이손보는 지난 24일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장영근 전 볼트테크코리아 대표를 신임 대표이사로 맞이하는 특단도 내렸다. 자생력을 키워 새로운 도약을 마련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융지주사 전환은 교보생명의 숙원사업이나 마찬가지로 내년 보험업을 주축으로 한 지주사 체계를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며 "카카오페이손보는 현재 실적이 부진하지만 사업영역 다변화 등에서 구미가 당길 수 있는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디지털손보에 군침 흘리는 이유


시장에서는 금융지주사 전환을 계획 중인 교보생명 외에도 금융지주사들이 비은행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해 보험사 인수에 눈독을 들이고 있어 향후 보험사 인수전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은행권 '이자장사'에 대한 금융당국의 압박이 커지고 있고 이자수익에 치우친 수익구조는 경기 변동과 시장금리 인상·인하 여부에 따른 변동 리스크가 커 비은행 부문 경쟁력 확보가 절실해졌기 때문이다. 최근 하나금융그룹은 KDB생명의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디지털손보업계에 대한 관심도 크다. 지난 4월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은 취임 한 달 뒤 열린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BNK금융이 9개 자회사를 보유하고 총자산이 160조원인 대한민국 대표 지역 금융그룹으로 성장했지만 은행과 증권은 있는데 보험이 빠져 종합금융그룹으로서 미완성"이라며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려면 보험사가 있어야 해 작은 인터넷전문손보사(디지털손보사)나 해외손보사 인수 등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디지털손보사 모두 적자 수렁에 빠진 상황이지만 디지털 경쟁력이 우수한 만큼 성장 가능성이 큰 데다 비은행 비중을 키우기 위해서는 매력도가 큰 영역이라는 진단에서다.

2022년 말 기준 BNK금융의 비은행 실적 기여도는 22.8%로 1년 전(31.4%)과 비교해 8.6%포인트 위축됐다. 은행과 비은행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라 비은행 포트폴리오 보완이 우선 과제인 상황이다.

보험연구원 관계자는 "디지털손보사들은 시장 확대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독자적 기술 기반 솔루션의 제공 등 사업모델의 확대가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한빛 기자 onelight9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