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주류 매출 2027년까지 2조로… 고품질 ‘K-명주’ 키운다 [농어촌이 미래다-그린라이프]

안용성 2023. 7. 27. 19: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 ‘산업발전 기본계획’ 발표
지난 10년 전통주 산업 진흥 기반 조성
온라인 판매 전면 허용 등 개선책 성과
혼술·홈술 문화 확산… 유통환경 변화
규제 타파·맞춤형 지원 등 목소리 커져
지역 대표 문화·양조장 10곳 조성키로
2023년부터 수출 유망품목에 전통주 추가
900억원 규모 전용 지원자금 조성 주목
막걸리 빚기 유네스코 유산 등재도 추진

정부가 우리나라 전통주류 매출액(출고액 기준)을 2027년까지 2조원 규모로 키운다. 또 전국에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양조장 10곳을 조성하고, 고품질 명주를 발굴·육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K전통주’ 프로젝트로 전통주류 수출액을 5000만달러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 호평받고 있는 한식과 연계한 ‘페어링 레시피’ 등의 개발로 한국 전통주의 인지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2023∼2027년) 전통주 등의 산업발전 기본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전통주 등의 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법정계획이다.
전통주는 ‘전통주 등의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의해 △중요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제조한 술 △주류 부문의 식품명인이 만든 술 △농업인 또는 농업경영체에서 지역의 농산물을 이용해서 제조한 주류를 의미한다.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정부는 이번 대책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전통주 산업의 성장, 소비·유통 트렌드 변화, 세계적인 K푸드 열풍 등 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업계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정책 방향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혼술·홈술 열풍에 전통주 시장도 ‘쑥’

농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통주 시장은 팬데믹 시기 혼술·홈술 문화와 온라인 판매 등 유통환경 변화를 겪으며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전통주 시장 규모는 2010년 433억원 수준에서 2015년 409억원, 2017년 400억원으로 줄어들었다가 2019년 531억원, 2021년 941억원, 2022년 1629억원으로 급증했다. 세계 주류시장 규모도 2020년 1조4900억달러에서 2025년까지 2조2000억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 실장은 “최근 전통주 제조·유통 판매업에 젊은 층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며 성공 사례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며 “이 같은 역동적 분위기를 지속 유지하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할 종합 대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국내 주류산업 시장 규모과 비교하면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주류산업은 2022년 9조9703억원으로, 전통주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제 막 1%를 초과한 정도다.
수출입 규모도 마찬가지다. 국내 주류 수출액은 3억2200만달러로, 수입액(13억8600만달러)에 턱없이 부족하다. 수입액이 수출액의 4.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전체 수출은 부진한 흐름을 이어 가고 있지만, 전통주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7년 이후 5년간 36.2%의 성장세를 보이며 가능성을 이어 가고 있다. 특히 최근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K푸드’와 연계해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다만, 매출액 10억원 이하 업체가 전체의 90.7%를 차지하고, 종사자 4인 이하 사업장도 80.9%에 달하는 등 열악한 산업구조는 개선돼야 할 숙제다.

◆“전통주 등 산업 육성”… 매출 2조원으로

정부는 그동안 2차례에 걸친 전통주 산업발전계획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주 산업 진흥의 기반을 조성했다. 특히 최근에는 젊은 층의 새로운 소비 취향에 맞춰 ‘원소주’ 등을 통해 연예인이 전통주 시장에 진입하면서 낡은 이미지가 개선되고 있다. 전통주 보틀숍도 2019년 10곳에서 지난해 120여곳으로 확대됐다.

권 실장은 “지난 10년간 전통주 산업진흥의 주요 성과는 전통주 온라인 판매 전면 허용, 탁주 과세체계 종량제 전환, 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기관 지정·운영 등을 꼽을 수 있다”며 “특히 찾아가는 양조장을 지역 문화 공간으로 정착하고 전통주 갤러리 운영을 통해 우리 술 인지도 향상 및 홍보에도 톡톡한 효과를 끌어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3차 계획에서 전통주 산업의 도약을 위한 혁신 성장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전략이다. 2027년까지 전통주류 매출액을 2조원으로 끌어올리고, 900억원 규모의 전통주 전용 자금 조성으로 단계별 성장을 지원한다.
세계인과 함께하는 ‘K술’ 문화를 위해 2027년까지 전통주류 수출액을 5000만달러로 확대한다. 프리미엄 전통주 판로를 개척하고 올해부터 수출 유망 품목에 전통주를 추가해 맞춤형 전략을 수립한다. 우리 술의 세계적 위상 제고를 위해 ‘막걸리 빚기’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정부는 또 농업·농촌과 상생하는 전통주 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 양조장 10곳을 육성하기로 했다. 우리 술 품평회 수상주 제조장을 ‘강소 양조장’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내년부터 조성될 ‘K미식벨트’와 연계한 전통주 갤러리 지역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권 실장은 “(전통주 산업을 키우기 위해) 통계 정비 및 인력 육성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전통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를 함께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