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총인구 5169만명…유소년 600만명대 첫 붕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2년 연속 줄어, 5169만명으로 집계됐다.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센서스 집계 이래 처음으로 600만명대 아래로 떨어지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총인구는 5169만2000명으로 전년(5173만8000명)보다 4만6000명(0.1%)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지난해 국내 총인구가 2년 연속 줄어, 5169만명으로 집계됐다.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는 센서스 집계 이래 처음으로 600만명대 아래로 떨어지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총인구는 5169만2000명으로 전년(5173만8000명)보다 4만6000명(0.1%) 감소했다.
총인구 중 내국인은 전년보다 14만8천명(0.3%) 줄어든 4994만명을 기록하면서 2018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5000만명대가 무너졌다.
외국인 인구는 전년보다 10만2000명(6.2%) 늘어난 175만2000명이었다. 코로나19 등 여파로 2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연령별로 보면 0∼14세 유소년 인구(586만명)는 전년보다 22만8000명(3.7%) 줄어들면서 500만명대를 기록했다.
15∼64세 생산가능 인구(3669만명)도 전년보다 25만8000명(0.7%) 줄면서 감소세를 이어갔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915만명)는 전년보다 44만명(5.1%) 늘면서 빠른 증가세를 유지했다.
저출산·고령화 기조가 계속되면서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전년(16.8%)보다 0.9%포인트 상승한 17.7%를 기록했다. 15∼64세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71.4%에서 71.0%로 하락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 부양비는 전년보다 0.5포인트(P) 하락한 16.0을 기록했다. 노년 부양비는 24.9로 1.4P 올랐다. 노령화 지수는 2017년(107.3) 대비 48.8P 상승한 156.1을 기록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35년 에너지신산업 수출 100兆 목표
- SKT·도이치텔레콤·싱텔·e&그룹, 글로벌 12억기반 통신사 동맹 결성…AI 대전환 추진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6700억원...반도체 적자 폭 줄여
- 보험비교·추천서비스 표준API, 일단 추진한다
- “전기차 때문에?”...자동차 3000대 실은 화물선, 바다 한복판서 화재
- [2023 세법]양도세 완화는 속도조절... 내년 5월 이후 방안 마련해야
- [2023세법]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기회발전특구 세제지원
- [김주한 교수의 정보의료·디지털 사피엔스]모방과 창조와 일상의 경제학
- [2023세법]중소·벤처업계, 가업승계 지원 확대 반색…민간모펀드 지원은 기대 못 미쳐
- [2023세법]국가전략기술, 바이오시밀러 등 8개 추가…리쇼어링 기업 세제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