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영업이익률 13% '질주'… 세계1위 벤츠와 나란히

문광민 기자(door@mk.co.kr), 이유섭 기자(leeyusup@mk.co.kr) 2023. 7. 27.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기아 실적 분석
2분기 영업익 7조6409억
고급화 전략 덕 47% 급증
도요타·폭스바겐 이어 3위
영업이익률도 3위에 올라
기아 "올 매출 100조 돌파"

지난해 판매량 기준 세계 3위를 기록한 현대자동차그룹이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 모두 글로벌 톱3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2분기 기준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은 판매량 중심의 대중 브랜드를 지향하는 도요타와 폭스바겐그룹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럭셔리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그룹과 BMW그룹 다음을 차지했다.

27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2분기 연결 기준 합산 매출은 68조4939억원, 영업이익은 7조640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보다 각각 18.3%, 46.6% 증가했다. 양사의 합산 영업이익률은 11.2%로 두 자릿수를 달성했다. 매일경제와 삼성증권이 분석한 주요 완성차 업체의 2분기 실적을 보면 현대차·기아의 합산 영업이익은 도요타(8조4383억원·전망치)와 폭스바겐그룹(8조328억원)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했다.

합산 영업이익률은 메르세데스-벤츠그룹(13%), BMW그룹(11.3%·전망치) 다음이다. 현대차그룹은 대중 브랜드와 럭셔리 브랜드의 성과를 아우르고 있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이 메르세데스-벤츠그룹·BMW그룹과 나란히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요인으로는 고급화 전략이 꼽힌다.

임은영 삼성증권 수석연구위원은 "현대차그룹은 폭스바겐그룹과 도요타에 비해 레저용 차량(RV) 판매 비중이 높고, 모델별로 탑재되는 기본 편의·안전 사양도 많다"며 "폭스바겐과 도요타는 미국에서 '깡통차'를 주로 판매하는 반면, 현대차·기아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기본으로 탑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RV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는 기아에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란 성적표를 안겨줬다.

기아는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26조2442억원, 영업이익 3조4030억원, 영업이익률 1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0%, 영업이익은 52.3%나 뛰었다. 매출은 무려 여섯 분기 연속, 영업이익은 세 분기 연속 신기록 경신 행진이다.

글로벌 판매량이 작년보다 10.1% 늘어난 80만7772대에 달했는데, 특히 RV와 친환경차 등 고사양·고가 차량의 판매 비중이 확대된 것이 수익성 증대에 큰 영향을 줬다.

2분기 기아의 차급별 판매 비중(중국 제외 도매 기준)을 보면 쏘렌토·스포티지 등 RV가 68%로 1년 전보다 2.6%포인트 증가했다.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HEV)가 8만2000대 팔리며 판매 비중 10%를 넘어섰고,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도 판매 호조를 이어갔다. 전기차(BEV) 판매는 EV6 외 추가 라인업이 없었음에도 작년 같은 시기와 비슷한 4만4000대를 유지했다.

그 밖에 새로운 모델을 출시할 때마다 여러 기술과 편의 사양을 기본화하면서 대당 판매가격(ASP)이 1년 전보다 10.3% 높아진 3460만원(연결 기준)을 찍었다.

그러면서 전날 현대차에 이어 기아도 연간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연초 97조6000억원으로 잡았던 매출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 돌파를 선언했다. 영업이익 목표는 9조3000억원에서 11조5000억~12조원, 영업이익률은 9.5%에서 11.5~12%로 대폭 높였다.

하반기 기아 실적도 전기차보다는 RV가 이끌 전망이다. 국내에선 7인승 전기 SUV인 EV9 판매가 본격화됐지만, 미국·유럽의 경우 판매 돌입 시점이 올해 4분기이기 때문이다. 다만 중국에서는 EV6와 현지 맞춤형 전기차인 EV5를 순차적으로 투입해 강도 높은 판매 반등을 노린다. 인도에서는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셀토스의 상품성 개선 모델을 앞세운다.

[문광민 기자 / 이유섭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