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글로벌 기업, 국내 법 위반 엄단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메타아일랜드와 인스타그램에 대해 각각 65억1700만원과 8억86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앞서 개보위는 지난해 9월 적법한 동의없이 이용자의 타사 행태정보를 수집해 이용한 메타에 과징금 308억원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
개보위는 앞으로도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국내에서 개인정보호법 등 국내법을 준수하는 지 지속 조사하고, 위법이 있다면 국내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강력하게 제재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메타아일랜드와 인스타그램에 대해 각각 65억1700만원과 8억86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앞서 개보위는 지난해 9월 적법한 동의없이 이용자의 타사 행태정보를 수집해 이용한 메타에 과징금 308억원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렸다.이는 2018년 7월 이후 서비스에 해당한다.
2018년 7월 이전 국내 서비스에 대한 개인정보처리자는 메타아일랜드와 인스타그램이다. 개보위가 메타아일랜드 및 인스타그램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 과징금을 재차 부과한 것이다.
개보위는 또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한 오픈AI에 대해서도 신고 의무 의반으로 과태료 360만원을 부과하고 개선권고 조치를 내렸다.
지난 3월 20일부터 21일 오픈AI의 챗GPT 플러스에 접속한 세계 이용자 일부의 성명, 이메일, 신용카드 번호 4자리와 만료일이 다른 이용자에 노출됐다. 우리나라 이용자 687명 개인정보도 함께 유출됐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국내 법 위반에 대해 제재하는 건 너무 당연한 일이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국내법 등 규제를 무시하거나 간과한 사례는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브랜드 위상과 국내 시장에서 인기도를 앞세워 국내 법 준수를 등한시했다. 이는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등 규제 형평성 차원에서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
개보위는 앞으로도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국내에서 개인정보호법 등 국내법을 준수하는 지 지속 조사하고, 위법이 있다면 국내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강력하게 제재해야 한다.
그래야만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국내법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35년 에너지신산업 수출 100兆 목표
- SKT·도이치텔레콤·싱텔·e&그룹, 글로벌 12억기반 통신사 동맹 결성…AI 대전환 추진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6700억원...반도체 적자 폭 줄여
- 보험비교·추천서비스 표준API, 일단 추진한다
- “전기차 때문에?”...자동차 3000대 실은 화물선, 바다 한복판서 화재
- [2023 세법]양도세 완화는 속도조절... 내년 5월 이후 방안 마련해야
- [2023세법]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기회발전특구 세제지원
- [김주한 교수의 정보의료·디지털 사피엔스]모방과 창조와 일상의 경제학
- [2023세법]중소·벤처업계, 가업승계 지원 확대 반색…민간모펀드 지원은 기대 못 미쳐
- [2023세법]국가전략기술, 바이오시밀러 등 8개 추가…리쇼어링 기업 세제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