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구 중 1가구는 '나혼자 산다'…65세 이상 고령 인구 900만명 돌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 수가 4인 이상 가구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가구 중 1곳은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였다.
전체 일반 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9.1%까지 올라갔다.
10가구 중 1가구가 고령자 1인 가구라는 의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가구 중 1가구,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
다문화 가구, 중국동포·베트남 순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혼자 사는 1인 가구 수가 4인 이상 가구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가구 중 1곳은 65세 이상 고령자 1인 가구였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 총조사(등록센서스 방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가구는 2238만3000가구로, 전년보다 1.6% (36만가구) 증가했다.
일반가구가 2177만4000가구로 총가구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집단·외국인 가구는 61만 가구였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가 750만2000가구로, 전년보다 337가구(1.0%) 증가했다.
1인 가구 수는 등록센서스 방식의 조사가 시작된 2015년 520만3000가구를 시작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해왔다.
2019년에는 614만8000가구를 기록해 600만선을 넘어섰고, 2021년에는 716만6000가구로 늘어 700만선도 돌파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5년 27.2%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34.5%까지 치솟았다. 3집 중 1집이 1인 가구인 셈이다.
지난해 2인 가구는 626만1000가구로 전체의 28.8%였고, 3인 가구는 418만5000가구로 19.2%였다.
4인 이상 가구는 382만6000가구로 1인 가구의 절반 수준이었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7.6%로 가장 낮았다.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25명으로 전년보다 0.04명 감소했다. 5년 전인 2017년과 비교하면 0.23명 줄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4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42만6000명(4.9%) 증가했다.
2020년 820만6000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어선 뒤, 2년 만에 900만명대까지 늘었다.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1%를 차지했고, 75∼84세는 31.7%로 집계됐다. 85세 이상 초고령자의 비율은 10.2%였다.
친족과 함께 거주하는 고령인구의 비중은 72.8%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줄었다. 85세 이상에서는 친족 가구의 비중이 55.2%까지 떨어졌다.
가구원 전체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규모도 349만4000가구로 전년보다 7.9% 늘었다.
고령자 1인 가구도 197만3000가구로 전년보다 8.2% 증가했다.
전체 일반 가구 중 고령자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9.1%까지 올라갔다. 10가구 중 1가구가 고령자 1인 가구라는 의미다.
고령자 1인 가구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15.0%)이었다. 특·광역시 중에서는 부산(11.1%)의 고령자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다문화 가구는 39만9000가구로, 전년 대비 3.7%(1만4000가구) 증가했다.
귀화자 가구가 전체의 42.8%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결혼이민자 가구(37.2%)와 다문화자녀 가구(11.1%)가 뒤를 이었다.
다문화 가구의 가구원 중 귀화자(내국인) 및 결혼이민자(외국인)를 뜻하는 '다문화 대상자'는 39만8000명이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12만8000명(32.3%)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8만7000명(21.8%), 중국 7만6000명(19.0%) 순이었다.
다문화 대상자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경기(32.8%)였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큰 지역은 인천(6.6%)이었다.
thle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지 기사에 “국민호텔녀” 댓글…대법, 모욕죄 벌금 50만원 확정
- 주호민 “자폐 아들, 두려움에 등교 거부…교사, 단순 훈육 아니었다”
- 장원영 ‘움찔’에 문재인 소환한 전여옥, 왜?…“맘카페 붉은 완장 채워”
- “5만원→20만원 간다” 소문에 전국민 열풍 난리 났었는데…시끌벅적 무슨일이
- 日 배낭여행 갔다 실종 49일째…“96년생 윤세준"
- "동물학대 수준"…황정음, 해외 동물원 인증샷 올렸다 뭇매
- “썩은 냄새” 신고에 문 따보니…시츄 48마리, 犬사체와 뒤엉켜 방치
- 박주호 '암 투병' 아내 안나 근황 고백…"좋은 판정 받아 추적 관찰중"
- “다들 애플 타령만 하는데” 잠자는 손흥민 손목 위 ‘이것’ 시선강탈
- 손흥민 "경기 매순간 통증…탈장 공개하지 않은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