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한국···고령층 비중 18% 육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이 최근 1년 간 15만 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에 육박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15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7%였다.
통상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내국인 4994만명···전년比 15만명 ↓
고령층 44만명 늘어···비중은 17.7%
1인가구 증가세···1년새 33.7만 가구 ↑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이 최근 1년 간 15만 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에 육박했다. 고령화 수준을 보여주는 노령화지수도 매년 상승세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은 4994만 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4만 8000명(0.3%) 줄어든 규모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175만 명으로 10만 2000명(6.2%) 늘었다. 이에 국내 총인구는 5169만 명으로 전년 대비 4만 6000명(0.1%)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36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15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7%였다. 통상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유소년인구(0~14세) 비중은 11.3%에 그쳤다. 인구가 증가한 연령층은 고령층(44만 명)이 유일했다.
노령화지수는 156.1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로 고령화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노령화지수는 10여 년 전인 2010년만 해도 69.6에 불과했다. 노령화지수가 최근 약 10년 만에 2배 이상 뛴 것이다.
1인가구 증가세도 눈에 띈다. 지난해 1인가구는 750만 가구로 1년 전보다 33만 7000가구 늘었다. 1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21년 33.4%에서 지난해 34.5%로 1.1%포인트 올랐다. 5년 전인 2017년(28.6%)과 비교하면 6%포인트 가까이 오른 수치다.
반면 4인가구 감소세는 뚜렷하다. 4인가구는 2021년 315만 4000가구에서 지난해 301만 1000가구로 최근 1년새 14만 4000가구 감소했다. 같은 기간 4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7%에서 13.8%로 0.9%포인트 감소했다. 4인 이상 가구로 범위를 넓혀도 비중은 17.6%로 1인가구 비중(34.5%)의 절반 수준이다.
한편 다문화가구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다문화가구는 39만 9000가구로 1년 전보다 1만 4000가구 늘었다. 5년 전인 2017년(31만 9000가구)과 비교하면 8만 가구 증가한 규모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수 수지 기사에 ‘국민호텔녀’ 악플 40대…벌금 50만원 확정
- “학대 의도 없었다” 주호민에 고소당한 특수교사 경위서 보니
- '그녀가 뜨면 경제가 산다'…콘서트마다 호텔·식당 들썩이게 만든 이 가수
- '움찔' 장원영에 비난 쏟아낸 맘카페…전여옥 '文, 붉은 완장 채워'
- 남편에 '사고 이후 살쪄서 못생겼다' 폭언하는 아내…위자료 누가 낼까
- 남의 가게 장식용 '오렌지' 슬쩍한 커플…'남자는 훔치고 여자는 '낄낄''
- 주호민 “자폐 아들, 두려워 등교도 거부…교사 언행 문제 있어”
- 복지부, 조민 의사면허 취소…부산대 입학취소 판결 석달만
- 유명 래퍼 콘서트서 속옷 벗어던진 女…하루 아침에 '스타덤'
- 아이브 장원영, 팔 만지려는 초등생에 뒷걸음질…맘카페서 '비난 화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