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한국···고령층 비중 18% 육박

세종=이준형 기자 2023. 7. 27.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이 최근 1년 간 15만 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에 육박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15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7%였다.

통상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내국인 4994만명···전년比 15만명 ↓
고령층 44만명 늘어···비중은 17.7%
1인가구 증가세···1년새 33.7만 가구 ↑
고령인구.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이 최근 1년 간 15만 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에 육박했다. 고령화 수준을 보여주는 노령화지수도 매년 상승세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거주하는 내국인은 4994만 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4만 8000명(0.3%) 줄어든 규모다. 국내 거주 외국인은 175만 명으로 10만 2000명(6.2%) 늘었다. 이에 국내 총인구는 5169만 명으로 전년 대비 4만 6000명(0.1%)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36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1%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15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7%였다. 통상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유소년인구(0~14세) 비중은 11.3%에 그쳤다. 인구가 증가한 연령층은 고령층(44만 명)이 유일했다.

노령화지수는 156.1로 전년 대비 13.1 증가했다.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로 고령화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노령화지수는 10여 년 전인 2010년만 해도 69.6에 불과했다. 노령화지수가 최근 약 10년 만에 2배 이상 뛴 것이다.

1인가구 증가세도 눈에 띈다. 지난해 1인가구는 750만 가구로 1년 전보다 33만 7000가구 늘었다. 1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21년 33.4%에서 지난해 34.5%로 1.1%포인트 올랐다. 5년 전인 2017년(28.6%)과 비교하면 6%포인트 가까이 오른 수치다.

반면 4인가구 감소세는 뚜렷하다. 4인가구는 2021년 315만 4000가구에서 지난해 301만 1000가구로 최근 1년새 14만 4000가구 감소했다. 같은 기간 4인가구가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7%에서 13.8%로 0.9%포인트 감소했다. 4인 이상 가구로 범위를 넓혀도 비중은 17.6%로 1인가구 비중(34.5%)의 절반 수준이다.

한편 다문화가구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다문화가구는 39만 9000가구로 1년 전보다 1만 4000가구 늘었다. 5년 전인 2017년(31만 9000가구)과 비교하면 8만 가구 증가한 규모다.

세종=이준형 기자 gilso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