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오늘] 노동운동에 뛰어든 신부와 목사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도시산업선교회는 산업화 시대 노동-도시빈민 문제 해결과 노동자 인권운동에 기여했다.
한국의 산업선교회는 1950년대 말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의 주도로 탄생했지만, 더 깊은 뿌리는 194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가톨릭 노동자 사제 캠페인과 얽혀 있다.
노동자사제 운동은 1941년 지중해 항구도시 마르세유의 부두에서 자크 로우(Jacques Loew)라는 신부에 의해 시작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도시산업선교회는 산업화 시대 노동-도시빈민 문제 해결과 노동자 인권운동에 기여했다. 한국의 산업선교회는 1950년대 말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의 주도로 탄생했지만, 더 깊은 뿌리는 194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가톨릭 노동자 사제 캠페인과 얽혀 있다.
프랑스 주교청은 1944년 대주교 직할 노동자사제 선교부를 설립했다. “젊은 사제들에게 세속적인 복장을 허용하고 공장에서 노동하게 함으로써 노동자들의 현실적 요구를 습득해 가톨릭 신앙으로부터 사실상 멀어진 노동계급의 신뢰를 회복”하려는 취지였다.
노동자사제 운동은 1941년 지중해 항구도시 마르세유의 부두에서 자크 로우(Jacques Loew)라는 신부에 의해 시작됐다. 그가 부여받은 임무는 직접 노동하는 게 아니라 현장에서 노동계급의 처지와 요구를 살펴보라는 거였다. 하지만 거칠고 험한 노동 현장에서 멀끔한 사제복을 입고 구경꾼으로 완수하기 불가능한 임무였다. 그를 비롯한 젊은 사제들은 점차 노동 현장에 뛰어들기 시작했고, 1945년 교황 비오 12세도 프랑스 주교청의 대담한 실험을 마지못해 승인했다.
작업복 차림의 사제들은 노동자들과 똑같이 노동하며 점차 노동운동, 즉 임금과 근로조건 개선 운동에 동참했고, 다수는 주동자로 나섰다. 1953년 90여 명의 노동자사제 중 10명이 결혼으로 교회를 떠났고 15명은 공산주의자들과 협력관계를 형성했다는 기록도 있다.
공장주들은 대주교와 교황청에 불만을 제기했고, 교황청은 53년 7월 27일 노동자사제의 ‘주일 노동’을 공식적으로 금지한 데 이어 11월 모든 노동자사제의 교회 복귀를 명령했다. 일부는 그 조치에 불응해 사제직을 포기했고, 로우 신부 역시 교회를 떠나 ‘성베드로와 바울 노동자선교단’을 설립했다.
노동자사제 정신은 60년대 가톨릭 개혁-개방의 분수령이 된 ‘바티칸 2차공의회’ 정신에 흡수됐고 국가와 지역, 교파를 넘어 세계로 확산됐다.
최윤필 기자 proos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범죄의 온상' 수원 디스코팡팡, 문 닫은 채 '썰렁'… 경찰 수사 확대되나
- 황정음, 동물원 인증샷 올렸다가 논란…"동물학대 수준"
- 오은영 "아이가 선생님 때린 건 옳고 그름 배우지 못해서...폭력 지도 시대로 돌아가선 안 돼"
- 소아과 의사들, '혼자 온 9세 진료 거부' 민원 넣은 부모 '형사 고발'
- [단독] 학생 돌려차기에 맞고, "저 선생 잘라" 폭언에도 신고 못해… 비정규직 교사들의 '눈물'
- 73년 만에 고국 돌아온 국군 전사자 유해... 윤 대통령, 거수경례로 예우
- 손흥민, '골때녀' 출격…직접 뽑은 최애 멤버는?
- "다리 만지실래요"…택시 기사 성추행한 20대 여성 신원 특정
- 딸과 성인용품점 방문하고 인턴 되고... '욕망' 드러내는 K콘텐츠 엄마들
- 한국 영화의 오래된 목격자, 최초의 배우학 연구자가 되다 - 백은하 맨땅브레이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