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휘의 시네필] ‘기계장치 신’과 디지털 시대의 낭만주의

조재휘 영화평론가 2023. 7. 27.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무한대의 연산 능력을 지닌 지적 존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입자의 성질과 운동량을 알고 있는 그는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분석하는 선에서 멈추지 않고 우주의 진행 방향을, 더 나아가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말처럼, 그의 눈에 비친 세상은 우연처럼 보이지만 실은 미리 준비된 각본처럼 운명 지어진 필연으로만 가득 차있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션 임파서블7’

무한대의 연산 능력을 지닌 지적 존재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입자의 성질과 운동량을 알고 있는 그는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분석하는 선에서 멈추지 않고 우주의 진행 방향을, 더 나아가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지 않을까?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말처럼, 그의 눈에 비친 세상은 우연처럼 보이지만 실은 미리 준비된 각본처럼 운명 지어진 필연으로만 가득 차있을 것이다. 근대 자연과학의 인식을 대변하는 이 발상을 ‘라플라스의 악마’라고 부른다.

‘미션 임파서블-데드레코닝 PART ONE’의 한 장면.


‘미션 임파서블 - 데드 레코닝 PART ONE’(2023)에서 이단 헌트의 상대는 더 이상 특정 국가도, 테러 조직도 아니다. 이단 헌트의 과거와 연관된 숙적 가브리엘은 인공지능 엔티티를 신처럼 추앙하며 자신은 그의 사도 내지 대리인으로 자임하는데, 온통 디지털 기기로 그득하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세상에서 엔티티의 능력은 말 그대로 전능(全能)함에 가깝게 묘사된다. 작중 가브리엘은 엔티티가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한 미래에 맞춰 계획을 진행시키고, 정보당국과 현지 경찰의 추적을 무력화한다.

심지어 엔티티는 가브리엘의 탈출에 필요한 차량이 어느 시각에 정확히 다리 아래를 지나갈지, 누가 그를 배신하게 될 지와 이단과 동료들이 다음 행선지를 어디로 정할 것인지도 거짓말같이 예견하고 개입해 상황을 주도한다. 그야말로 ‘기계장치 신’(Deus ex machina). 고대 그리스의 희극이나 근대 수학자의 사유실험에 등장했던 상상의 존재는 슈퍼컴퓨터와 인공지능의 옷을 입고 디지털 시대에 구체화되어 현현한다. 엔티티는 영락없이 ‘라플라스의 악마’를 연상시킨다. 아날로그 시대의 첩보원 이단 헌트와 감정도 표정도 없는 디지털 유령의 대결은 자유의지와 결정론의 대립이라는 철학의 오래된 질문까지 소환시킨다.

엔티티는 루터가 눈치채지 못하는 새에 장비를 해킹해 가브리엘의 모습을 유령처럼 지워버리는가 하면. 이동경로를 지시하는 벤지의 목소리를 흉내 내어 이단을 계획된 함정으로 몰고 간다. 첨단 기술을 능숙히 다루며 작전을 성공시켜오던 팀이 도리어 기술의 산물에 의해 무력화되는, 감시 대상을 좌지우지하던 판옵티콘의 주체가 순식간에 객체로 전락하는 이 역운(逆運)은 지독하리만치 역설적이다. ‘공각기동대’(1995)의 인형사처럼 자기의식을 갖도록 진화한 첨단 인공지능의 위협은 영화에 모종의 섬뜩한 공포감을 불어넣으며, 인공지능의 발전이 점점 생생하게 체감되어가는 현실의 전망을 헤아려보게 한다.

더 이상 첨단 기술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제약으로 이단 헌트를 몰아넣는 영화의 의도는 오로지 육체와 실물로 빚어낼 수밖에 없는 고전적 아날로그 액션의 박진감을 부각시키기 위해서일 것이다.


알아서 사고하고 작동하는 인공지능의 위협에 맞서, 이단 헌트는 쉼 없이 달리고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등, 온 몸을 날려 존재 가치를 증명한다. 그리고 그런 활약이 기어이 ‘기계장치 신’ 엔티티의 예측을 헝클어뜨리는 불확정성을 만들어낸다. ‘데드 레코닝’의 바탕에 깔린 건 ‘탑건: 매버릭’(2022)과 같은 일종의 복고적 낭만주의다.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도 추락하는 증기기관차의 실물을 대체하진 못하듯, 암만 새로운 디지털(인공지능)이라도 끝끝내 아날로그(인간)를 대신할 순 없으리라는 믿음 말이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