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에서 빠진 경사면도 ‘와르르’…사면 관리기준 점검 필요
[KBS 광주] [앵커]
길었던 장마는 끝이 났습니다만, 점검하고 고쳐야 할 바는 철저히 따져봐야겠습니다.
그중 하나가 더 잦은 폭우에 대비한 경사면 관리 기준입니다.
손민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16일, 여수의 한 요양원 뒷산에서 흙더미가 무너져 환자 50여 명이 긴급 대피했습니다.
지난 13일에는 보성의 지방도로 옆 경사면이 무너져 운전자 1명이 다쳤습니다.
두 곳 다 모두 산사태 위험지역도, 지자체가 관리하는 급경사지도 아니었습니다.
[송창영/광주대 토목공학과 교수 : "기후 변화 때문에 강우량이 더 빈번해졌고 더 심하게 내리고 있잖아요. 관련된 내용들을 정비할 필요는 충분히 있습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관리하는 경사면은 안전할까?
광주시와 전남도는 규모가 큰 사면을 '급경사지'로 분류하고 주기적으로 안전 진단을 합니다.
가장 안전한 A부터 E 까지 등급을 나누는데, 1,918 개소 중 D나 E등급을 받은 사면이 광주 3개소, 전남 311 개소에 이릅니다.
높이 7미터, 지어진 지 30년이 넘은 아파트 옹벽입니다.
이 옹벽은 안전진단에서 붕괴 위험이 높은 D등급을 받았습니다.
국토부는 국도 비탈면을 관리하는데 광주전남의 비탈면 3천 개소 중 규모가 큰 2백여 개소만 주기적으로 점검합니다.
관리되는 사면 대부분이 점검과 진단에서 빠져 있고, 위험이 있다 판단되더라도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없는 겁니다.
붕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계측기 설치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문제는 예산입니다.
[김대현/조선대 토목공학과 교수 : "물론 이게 아주 촘촘히 해놓는 것도 좋지만 충분하게 저걸로 확인이 되기 때문에 최적화시켜서... 경제성도 따져야 하거든요."]
이번 장마 기간 광주·전남에서 발생한 사면 붕괴는 154건.
기후 변화 시대, 더 잦은 폭우에 대비한 사면 관리 기준과 예산 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민주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조민웅
손민주 기자 (hand@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국토부 공개한 양평고속도로 문서 중 20건은 ‘미등록’
- [단독] 일본 배낭여행 간 한국인 실종 48일째…“96년생 윤세준”
- “진실 묻히면 안 돼”…오송 참사 유가족 협의회 출범
- 당정, 교권 침해 생기부 기재·“학생인권조례 개정 필요”
- 홍준표 ‘당원권 정지 10개월’…홍 “아직 3년의 시간 있다”
- [단독] 원산서 전용 대형 유람선 포착…김정은 여름나기?
- 신림동 ‘묻지마 살인’ 피의자 33살 조선 신상공개
- 이번엔 집회·시위 규제 권고…야 “졸속으로 기본권 제약”
- “교사는 예비 살인자”…윤건영 충북교육감 발언 파문
- 폐허 속 희망을…6.25 후 재건 사업 기록영상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