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요양기간 심의에 인공지능 의학자문모델 도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업재해로 요양급여를 받는 노동자가 요양기간을 연장할 때 관련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 인공지능(AI) 기반 의학자문 모델이 도입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26일 "산재 요양기간 산정 과정에 자문의사를 대신할 수 있는 AI 기반 의학자문 모델을 개발할 것"이라며 "이르면 올해 말부터 AI가 부분적으로 의사를 대신해 자문 역할을 맡는다"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재해로 요양급여를 받는 노동자가 요양기간을 연장할 때 관련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에 인공지능(AI) 기반 의학자문 모델이 도입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26일 “산재 요양기간 산정 과정에 자문의사를 대신할 수 있는 AI 기반 의학자문 모델을 개발할 것”이라며 “이르면 올해 말부터 AI가 부분적으로 의사를 대신해 자문 역할을 맡는다”라고 밝혔다. 이번 모델 개발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와 1000만건 이상의 산재 관련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근로복지공단이 협업해 이뤄진다. 이 모델은 공단이 보유한 과거 자문 사례를 인공지능이 학습한 뒤 산재 노동자의 질병과 증상에 맞는 요양기간을 제시하는 역할을 맡는다.
현재 산재 요양급여를 받는 노동자가 요양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선 해당 노동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이 요양기간과 치료방법 등이 포함된 진료계획을 공단에 제출해야 한다. 이후 공단은 소속 상근의사 20여 명과 위촉 자문의사 1300명을 통해 진료계획에 포함된 추가 요양 신청일수가 타당한지 검토한다. 이러한 자문이 대부분 현업에 종사하는 위촉 자문의사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의뢰부터 결과 확인까지 평균 약 5일가량이 소요된다.
행안부와 공단은 AI 의학자문 모델을 개발해 현장에서 활용하면 단순 연장 사례의 약 80%가량은 AI가 수행할 수 있어 업무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관련 예산도 상당 부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기준 산재 요양 관련 의학자문 건수는 46만2182건인데 이중 요양기간 연장 관련 자문건수는 22만3000여건(48.4%)으로 절반에 가까워, 행정 효율성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해당 모델은 공단이 구축 예정인 ‘스마트산재보상시스템’에도 탑재될 계획이다.
박다해 기자 doall@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건설 현장은 40도…숨진 노동자 본 의사 “온몸이 익었다”
- “교사는 예비 살인자” 윤건영 교육감 사과…질문 안 듣고 퇴장
- 초등생 호소문 “담배 연기 괴로워…저는 ‘뛰지 마’ 혼나잖아요”
- 100여명 살리고 하늘로…“나누는 삶” 좌우명대로 떠난 의인
- 윤 대통령이 ‘카르텔’ 남발하는 이유
- 겨우 3주 ‘대통령실 누리집 토론’ 근거로…집회 옥죄기 논란
- ‘37도’ 차에 갇힌 아기 울음소리…아빠는 유리를 깼다 [영상]
- 낮 12시 광장, 검정 티에 흰 우산…판교에 무슨 일이
- “새벽 3시에 32.7도…쿠팡은 더운 시간 피해 꼼수 기온측정”
- ‘이상민 위법…늑장대응 비상식’ 헌법재판관 3명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