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k] "늘 베풀고 당당히 살라"던 멋진 엄마, 100여 명 살리고 떠났다

김성화 에디터 2023. 7. 26. 14: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죽으면 가지고 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 모든 것을 다 베풀고 가고 싶다."

'남과 나누는 삶'을 인생의 좌우명으로 삼고 기부와 봉사활동을 꾸준히 펼쳐온 50대 여성이 마지막 순간까지도 새 삶을 선물하고 떠났습니다.

딸 김시아 씨는 "엄마가 나와 동생한테 가르쳤던 '남들에게 베풀고 당당하게 살아가라'는 말 잘 간직할게. 우리 걱정 너무 하지 말고 하늘나라에서도 멋진 삶 잘 살았으면 좋겠어"라며 엄마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죽으면 가지고 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 모든 것을 다 베풀고 가고 싶다."

뇌사장기기증 후 세상을 떠난 권은영 씨.


'남과 나누는 삶'을 인생의 좌우명으로 삼고 기부와 봉사활동을 꾸준히 펼쳐온 50대 여성이 마지막 순간까지도 새 삶을 선물하고 떠났습니다.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선사하고 눈을 감은 그는 51살의 권은영 씨.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오늘(26일) 뇌사 상태에 빠져있던 권 씨가 지난 6일 고려대 안산병원에서 장기와 인체조직을 기증한 후 세상을 떠났다고 전했습니다.

권 씨가 떠나고 남긴 심장 · 폐 · 간 · 좌우 신장은 5명의 생명을 살렸고 인체조직은 100여 명의 환자들에게 빛을 안겨줬습니다.

기증원에 따르면 전북 전주에서 2남 2녀의 막내딸로 태어난 권 씨는 밝고 성실하며 창의적인 성격의 소유자였습니다.

대학 시절 총학생회장과 기자로 활동한 그녀는 졸업 후 대기업 인사팀에서 근무하며 일본 연수 중 만난 남편과 사이에 1남 1녀를 둔 엄마였습니다.

나누는 삶을 지향했던 권 씨는 가족들과 함께 아프리카 아동 후원, 연탄 나르기 등 여러 나눔 활동을 해왔다고 합니다.

또 "어렸을 적 다양한 이웃이 있었으면 좋겠다"며 자녀들과 정기적으로 장애인 센터에 방문해 책을 읽어주는 등 봉사활동을 했습니다.

일상 순간순간마다 나누는 삶을 실천한 그녀는 딸아이의 이름도 '베푸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을 담아 '시아'라고 지었습니다.

2년 전 권 씨는 "죽으면 가지고 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냐. 모든 것을 다 베풀고 가고 싶다"며 장기기증 희망등록을 했습니다.

그러던 지난 1일 운동 중 쓰러진 권 씨는 뇌사 상태에 빠졌고 가족들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지만 권 씨의 생전 뜻을 알았기에 장기 기증에 동의했습니다.

딸 김시아 씨는 "엄마가 나와 동생한테 가르쳤던 '남들에게 베풀고 당당하게 살아가라'는 말 잘 간직할게. 우리 걱정 너무 하지 말고 하늘나라에서도 멋진 삶 잘 살았으면 좋겠어"라며 엄마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했습니다.

2020년 권은영 씨가 아들과 건강한 모습으로 향수를 만들고 있는 모습. 뇌사 상태에 빠졌던 권 씨는 지난 6일 장기기증으로 5명에게 새 생명을 선물하고 세상을 떠났다.


(사진=한국장기조직기증원 제공)

김성화 에디터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