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가격 올렸는데 증권사는 왜 목표주가를 낮췄을까

지영호 기자 2023. 7. 26. 08: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상장사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이 냉랭하다.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 개선 효과보다는 향후 환경투자에 대한 부담을 더 무겁게 보는 까닭이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생산규모를 유지하려면 2027년까지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며 "가격 인상은 실적 개선보다 규제 기준을 맞추기 위한 최소한의 경영활동"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의왕=뉴스1) 이승배 기자 = 27일 경기도 의왕시 한 시멘트 공장에서 믹서트럭들이 오가고 있다. 2023.6.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상장사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이 냉랭하다.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 개선 효과보다는 향후 환경투자에 대한 부담을 더 무겁게 보는 까닭이다.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일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의 가격인상 소식이 전해진 24일 이후 두 종목의 주식은 전혀 가격인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일시멘트는 24일 전일대비 50원 내린 1만1550원에 장을 마쳤고 한일현대시멘트는 전일 대비 10원 오른 1만6970원에 그쳤다. 이튿날인 25일에도 주가는 큰 변화가 없다.

이런 양상은 앞서 가격인상을 선언한 쌍용C&E나 성신양회에서도 나타난다. 쌍용C&E의 경우 가격인상이 알려지기 직전인 지난 5월30일 종가는 5850원이었으나 가격인상 소식이 알려진 이후 4740원까지 하락했다. 현재 5000원선을 겨우 사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성신양회 역시 6월2일 9610원으로 시작해 1만원선을 넘보는 듯 했으나 8250원을 찍은 후 현재 8500원선을 겨우 지키는 상황이다.

이런 배경은 시멘트업계의 가격인상 효과가 실적 상승을 이끌기엔 역부족이란 판단에서다. 유안타증권이 최근 쌍용C&E의 시멘트 가격 인상 계획에 대해 효과가 크지 않다며 목표주가를 7700원에서 6200원으로 하향한 것은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결과다. 김기룡 애널리스트는 △전력비 등 원가부담 가중 △폐합성수지 등 순환자원 수급악화에 따른 환경사업 부진 등으로 가격인상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실제 시멘트업계의 비용부담은 전력비와 환경개선 투자가 커지는 추세다. 제조원가의 20%를 차지하는 전력비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누적 1kWh당 42.7원이 늘어 45% 증가했다. 석탄재 수급부족과 슬래그, 석고 가격 상승, 최저임금 인상과 물가상승으로 인한 보수비 인건비 증가도 점차 부담을 키운다. 제조원가의 30%를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은 지난해 최고가 대비 50% 이상 감소했지만 인상분의 절반만 판매가격에 반영해 효과가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더 큰 부담은 시멘트산업 전체에 닥친 환경개선 투자 의무다. 시멘트업계는 환경부 기준에 따라 2027년까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현재 수준보다 50% 이상 줄이기 위해 대규모 질소산화물 방지시설을 갖춰야 한다.

이런 이유로 최근 5년간 시멘트 7개사가 투입한 설비투자 비용은 1조7745억원에 이른다. 전체 투자비 2조316억원의 87%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문제는 해마다 투자금액이 급증하고 있는 점이다. 환경·안전, 에너지절약·공해방지 등 합리화설비투자에 투입한 비용은 2019년 1948억원에서 올해 5208억원으로 2.67배 증가했다.

수익성 악화는 현재 진행형이다. 시멘트를 주력으로 하는 쌍용C&E와 성신양회는 1분기 각각 54억원과 86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나머지 5개사 역시 시멘트의 손실을 레미콘 등 다른 사업에서 보완해 손실을 면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생산규모를 유지하려면 2027년까지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며 "가격 인상은 실적 개선보다 규제 기준을 맞추기 위한 최소한의 경영활동"이라고 말했다.

지영호 기자 tellm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