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발 훈풍 확산…'청약 오픈런'이 돌아왔다

박경훈 2023. 7. 26. 05: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천 남동구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백운주택1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은 지난 주말 사이 미분양 가구 계약을 대부분 끝냈다.

지난해 12월 총 400가구의 일반분양을 진행한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은 2.89 대 1을 기록한 84㎡(27가구) 유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주택형(59㎡·373가구)에서 모두 미달을 기록한 후 6개월 넘도록 미분양을 해소하지 못했다.

온라인에는 일당 17만 5000원을 주고 해당 모델하우스 '오픈런 알바'를 모집하는 글이 돌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살아나는 부동산 시장, 반등론 확산]
내 집 마련 미룬 실수요자 속속 복귀
직년 인천 미분양, 일주일 만에 완판
1~5월 서울 원정 투자 작년의 2배↑
'모델하우스 줄서기 알바' 모집 글도

[이데일리 박경훈 김아름 기자] 인천 남동구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백운주택1구역주택재개발정비사업)은 지난 주말 사이 미분양 가구 계약을 대부분 끝냈다. 지난해 12월 총 400가구의 일반분양을 진행한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은 2.89 대 1을 기록한 84㎡(27가구) 유형을 제외하고 나머지 주택형(59㎡·373가구)에서 모두 미달을 기록한 후 6개월 넘도록 미분양을 해소하지 못했다. 그랬던 단지가 한 주 사이에 ‘완판’ 하자 조합 관계자마저 어리둥절한 반응이다. 조합 관계자는 “최근 분양촉진에 나선 후 지난 금·토·일 사이 분양이 거의 완료됐다”며 “사람들이 밤새도록 줄을 서서 놀랐다”고 말했다.

최근 아파트 경기가 반등하자 지난 2010년대에나 볼 법한 ‘모델하우스 줄서기 알바’가 인천에 다시 등장했다. 인근 한 공인중개소 대표는 “주변 부동산에서 웃돈(프리미엄)을 주고 팔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고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온라인에는 일당 17만 5000원을 주고 해당 모델하우스 ‘오픈런 알바’를 모집하는 글이 돌기도 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서울을 기준으로는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인천과 경기 등 수도권 부동산 시장으로 퍼지면서 아파트값 반등을 이끌고 있다. 실제 서울과 수도권으로 원정투자하는 투자자도 늘면서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확산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17일 기준 전주대비 0.07% 상승했다. 지난 5월 22일 이후 9주 연속 상승세다.

25일 이데일리가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의뢰해 올해 1~5월 서울 외 지역 인구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을 집계한 결과에서도 반등세가 확연히 드러난다. 이 기간 매매거래량은 338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40건)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주택가격의 폭등기를 보이던 지난 2020년 8865건, 2021년 5215건을 기록한 것보다는 낮지만 2019년(2281건)보다는 30%나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 인구의 타 지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경기가 5544건으로 수도권 투자 움직임도 월등했다. 인천 904건, 충남 432건, 충북 350건이 그 뒤를 이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전문가들은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올 상반기부터 이어져 온 상승 흐름이 하반기에도 이어지리라 내다봤다. 특히 내 집 마련을 미뤄왔던 실수요자가 시장으로 돌아오면서 거래증가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강남권 고가 아파트 위주로 늘어나면서 상승을 주도하는 모양새다”며 “내년부터는 서울의 공급 물량이 줄어들고 분양가도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내 집 마련을 미뤄뒀던 실수요자가 거래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경훈 (view@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