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세까지 일하고 싶다"... 팍팍한 노후에 ‘고령 노동' 역대 최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하는 고령층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내 고령층(55~79세) 인구는 1,548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38만4,000명(2.5%) 늘었다.
전체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이들(778만3,000명·50.3%)의 월평균 수령액은 75만 원에 그쳤다.
실제 고령층의 68.5%(1,060만2,000명)는 장래 근로를 원했고, 평균 73세까지 일하길 바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령액 평균 75만 원
일하는 고령층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노후 보장이 부족한 상황에서 생계비를 벌기 위해 '노동 전선'으로 내몰리는 이들이 그만큼 많아지고 있다는 뜻이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내 고령층(55~79세) 인구는 1,548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38만4,000명(2.5%) 늘었다. 급속도로 진행된 고령화 탓에 고령인구 비율은 15세 이상 인구의 34.1%에 달한다. 이들 중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건 932만1,000명으로, 경제활동참가율(60.2%)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절반 이상(55.8%)은 근로 희망 사유로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일하는 즐거움(35.6%), 건강 유지(2.1%) 때문이라는 응답비율과 비교하면 노후생활 대비가 충분히 돼 있지 않다는 방증이다.
전체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이들(778만3,000명·50.3%)의 월평균 수령액은 75만 원에 그쳤다. 연금을 받는 고령층 절반 가까이(44.6%)는 수령액이 50만 원 미만이었다. 50만~100만 원 미만이 30.2%, 150만 원 이상은 12.2%였으나, 이 역시 생활하기엔 부족한 금액이다. 올해 최저임금의 월 환산액(191만4,440원·209시간 기준)을 밑돌 뿐 아니라, 고령층이 가장 많이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 수준(200만~250만 원 미만·19.8%)과도 크게 차이 난다.
그렇다 보니 은퇴 이후에도 일자리를 놓지 못하는 경우가 반복되고 있다. 실제 고령층의 68.5%(1,060만2,000명)는 장래 근로를 원했고, 평균 73세까지 일하길 바랐다. 나이가 많을수록 계속 근로 희망 연령도 올라가 65~69세는 75세까지, 70~74세는 78세까지, 75~79세는 82세까지 일하고 싶다고 답했다.
세종= 변태섭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단결근, 돈 집착, 잦은 음주... 전 동료들이 말한 '칼부림 조씨'
- “학생 난리로 모든 게 버거워” 서이초 교사 죽음 2주 전 남긴 일기
- 손예진, 직접 공개한 아들 사진…동료 배우들 반응은?
- 혼자 온 9세 아이 돌려보냈더니 민원… 지역 하나뿐인 소아과 폐업
- 추자현, 우효광 불륜설 해명 막은 이유 ('동상이몽2')
- "비밀출산 보장·배드파더 추징" '모든 임신'을 국가가 보호하는 독일
- 한국, 여자월드컵 조별리그 첫 상대 콜롬비아에 0-2 패... 16강 적신호
- 정소녀 "흑인 아이 출산 루머, 연예인 된 것 후회했다"
- "미혼모여서 보호자 없어요" 말에 요금도 안 받고 병원 데려다준 청주 택시기사
- 카카오 택시 결제했더니 '팁' 줄지 선택하라고 했다 "찜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