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기에도 성수기 같은 실적…그런데 항공주가 빠지는 이유

고득관 매경닷컴 기자(kdk@mk.co.kr) 2023. 7. 25. 15: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4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이 이용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출처 : 연합뉴스]
전통적인 여객 비수기인 2분기에도 해외여행 붐을 타고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실적 기대감이 한껏 높아졌다. 하지만 실적 발표 첫타자인 티웨이항공이 눈높이에 못 미치는 실적을 내놓자 LCC주들이 일제히 떨어지고 있다.

25일 증권가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전일대비 355원(11.87%) 내린 2635원에 거래를 마쳤다.

티웨이항공은 4개 상장 LCC 중에서 최근 주가 흐름이 가장 좋았던 곳이다. 전날까지 연초 대비 주가 수익률이 20.80%였지만 이날 10% 넘게 주가가 빠지면서 수익률도 6.46%로 내려왔다.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 17.89%를 크게 밑도는 숫자다.

티웨이항공 외에도 제주항공(-6.09%), 진에어(-8.06%), 에어부산(-6.44%) 등 다른 LCC주들도 일제히 주가가 빠졌다. 대한항공(-3.32%), 아시아나항공(-1.78%) 등도 약세를 나타냈다.

전날 장 마감 이후 티웨이항공은 2분기 실적을 내놨다. 티웨이항공의 2분기 영업이익은 1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99억원에서 흑자전환했다. 티웨이항공이 2분기에 흑자를 낸 것은 지난 2010년 회사 설립 이래 올해가 처음이다.

2분기는 전통적인 여객 비수기다. 명절 연휴도 없고 학교 방학도 없는 시즌이다. 이 때문에 코로나 이전인 지난 2019년 2분기에도 제주항공 279억원, 진에어 266억원, 티웨이항공 258억원, 에어부산 219억원 등 LCC들이 일제히 200억원대 영업손실을 냈다.

티웨이항공이 호실적을 내고도 주가가 급락하는 것은 영업이익 자체는 크지만 시장 기대치에는 못 미치는 숫자였기 때문이다. Fn가이드 기준 티웨이항공의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13억원이었다. 이달 나온 실적 전망치는 220억~240억원 수준이었는데 실제 발표치는 200억원에도 못 미쳤다.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청사 내 출발 항공편 안내 모니터의 모습. [출처 : 연합뉴스]
비수기에 따른 운임의 하락이 예상보다 컸다. 비수기에도 항공사들이 좌석 공급을 줄이지 않고 손님 끌어오기 경쟁에 나서면서 티웨이항공의 2분기 여객 운임은 km당 76원으로 전분기 대비로도 23%나 하락했다. 이에 따라 제주항공(2분기 실적전망치 289억원), 진에어(346억원) 등도 다른 LCC들도 이미 높아질 데로 높아진 시장의 실적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할 것이란 불안감이 확산해 함께 주가가 빠진 것이다.

시장의 관심은 최대 성수기 시즌인 3분기 실적과 그 이후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 3분기는 해외여행 극성수기로 항공사들은 연간 영업이익 가운데 절반 정도를 3분기에 벌어들인다. 특히 올해는 팬데믹에 따른 이연 수요가 연초부터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기대감이 높다. 지난달까지 해외여행객수는 코로나 이전의 70% 수준까지 회복했는데 이 수치가 올 여름 휴가철에는 85%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현재의 높은 여객 운임은 해외여행 수요 증가 외에도 여객기 공급 차질이라는 공급 문제로 야기된 측면도 있다. 이 문제가 올해 말쯤에는 서서히 해소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LCC들의 사상 최대 규모의 실적도 점차 정상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란 시각이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원래 2분기는 비수기인 만큼 이익에 대한 기대치가 낮았고 투자 역시 한 템포 쉬어가는 시기였다면 이제부터는 다시 성수기 모멘텀에 주목할 차례”라며 “2분기 비수기 영향을 피크아웃으로 오해받은 탓에 수요 모멘텀은 저평가돼있다”고 말했다.

반면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우리는 일상으로 회귀 중이고 밸류에이션도 같은 길을 걸어갈 가능성이 높다”라며 “고수익성의 지속가능성은 가격 지지력이 좌우하는데 이는 길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