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병·AI로 北과 싸울 건가[뉴스와 시각]

정충신 기자 2023. 7. 25. 11: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으로 20년 지난 2040년대에는 상비군 병력 30만 명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군 병력 수는 48만여 명으로, 북한군(128만여 명)의 37% 수준이었다.

2027년 상비병력 규모 50만 명 선 유지 목표도 어렵게 됐다.

향후 10년간 47만 명 선, 복무 개월 수 확대, 병력수급체계 대수술 등 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러시아처럼 외국군 용병으로 병력을 채워야 할 처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충신 정치부 선임기자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으로 20년 지난 2040년대에는 상비군 병력 30만 명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군 병력 수는 48만여 명으로, 북한군(128만여 명)의 37% 수준이었다. 2035년 46만5000명 선까지 줄다가 2040년대 30만 명 선 유지도 힘들 것이란 국책연구기관(KIDA) 분석이 나왔다. 2027년 상비병력 규모 50만 명 선 유지 목표도 어렵게 됐다. 향후 10년간 47만 명 선, 복무 개월 수 확대, 병력수급체계 대수술 등 특단의 대책이 없으면 러시아처럼 외국군 용병으로 병력을 채워야 할 처지다. 병력 수급에 초비상이 걸렸다.

국군은 2002년 69만 명, 2017년까지 60만 명을 겨우 유지하다가 2018년 57만 명 기록 후 2021년에 51만 명이었으나 50만 명 선도 무너졌다. 지난 5년간 총병력 12만 명이 준 셈이다. 50만 명을 유지하려면 매년 22만 명이 충원돼야 하나, 2015년 37만 명이던 20세 남자 인구는 2025년 23만 명, 2036년부터 22만 명 이하, 2040년 14만 명, 2042년엔 12만 명까지 급감이 예상된다. KIDA 조관호 박사는 현역 자원은 2035년부터 매년 2만 명 부족해져 2043년이면 최저 33만 명 선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간 간부, 초급 간부 부족과 불균형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2025년엔 하사 인원(3만6344명 예상)이 중사(4만1995명), 상사(3만7320명)보다 적어지는 역전 현상도 예상된다.

병력 부족 현상을 부추긴 건 역대 정부의 안보 포퓰리즘이 한몫했다. 징집병 의무복무기간은 노무현 정부 때 30개월에서 26개월, 이명박 정부 때 21개월로 줄였다가 문재인 정부 때 육군 기준 현행 18개월로 굳어졌다. 병 복무기간 조정, 모병제 전환, 여성징병제 도입 등 다양한 대안이 거론되지만 말뿐이다. 군 수뇌부는 인공지능(AI)이 만병통치약이나 되는 듯 ‘AI 강군’ 외엔 대안이 없는 듯하다. 대만은 병 의무복무기간 2년을 2008년 1년, 2017년 4개월로 단축했다가 중국이 대만 침공 위협을 가시화하자 ‘앗 뜨거워’라며 내년부터 복무기간을 1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대만 상황을 강 건너 불구경할 처지가 아니다. 분단국가에서 병력 유지는 국가의 사활이 걸린 문제다. 북한이 인민을 굶겨 죽이면서까지 128만 상비군을 유지하는데 그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병력으로 과연 맞설 수 있을까. 더구나 북한군은 10년 이상 장기복무자로 18개월 복무한 국군과 전투력·전문성에서 큰 차이가 난다. 매년 천문학적인 혈세를 군에 투입해 첨단 전투기·함정, 무기를 도입한들 이를 제대로 운용할 병력이 부족하면 무용지물이다. 북한 핵무기보다 더 무서운 내부의 적이 저출산율이다. 제대로 된 병력 충원 없이 AI나 용병으로 북한군과 싸울 수 있을까? 미국처럼 일반 병사에서 부사관으로 진급하는 ‘병 및 부사관 통합 인력관리체계’, 여군 비율 및 간부 대폭 확대, 현행 장·단기복무제도와 일률적 의무복무기간을 전면 재검토해 ‘완전직업군인제’ 형태의 다양한 계약모집 방식 전환 등 병력수급체계의 대수술이 필요하다. 예비군에 대한 투자 등 예비군 정예화 대책도 시급하다. 최후 방어선인 병력 40만 마지노선마저 위태위태하다.

정충신 정치부 선임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