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2분기 성장률 0.6%…수출보다 수입 더 줄은 ‘불황형 성장’
25일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더불어 지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같은 해 3분기(2.3%)·4분기(1.3%), 2021년 1분기(1.8%)·2분기(0.9%)·3분기(0.1%)·4분기(1.4%), 지난해 1분기(0.7%)·2분기(0.8%)·3분기(0.2%)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그러나 수출 급감 영향으로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0.3%) 다시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민간소비에 힘입어 올해 1분기(0.3%) 반등한 뒤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면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1% 감소했다.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1.9% 줄었다. 건설투자는 토목건설 부진으로 0.3%,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부진으로 0.2% 뒷걸음쳤다.
민간과 정부의 소비·투자가 모두 줄었음에도 전체 GDP가 성장한 건 순수출(수출-수입) 덕분이었다.
실질GDP는 크게 보면 민간소비·정부소비·투자·순수출의 합인데, 직전 분기와 견줄 때 수출보다 수입 감소 폭이 더 커 순수출이 늘면서 플러스 성장이 가능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2분기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이 늘었지만, 석유제품·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8% 축소됐다. 수입의 경우 원유·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 줄었다.
이 때문에 2분기 성장률에 대한 항목별 기여도 분석에서도 순수출(1.3%포인트)만 플러스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1.3%포인트만큼 2분기 성장을 견인했다는 의미다.
반대로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0.1%포인트, 0.4%포인트, 0.1%포인트 각각 끌어내렸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이 재배업을 중심으로 5.5% 늘었고, 제조업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 호조로 2.8% 증가했다. 서비스업도 운수업 등 위주로 0.2% 성장했다.
그러나 전기·가스·수도사업은 6.0%, 건설업은 3.4% 감소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증감 없이 전 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실질 GDP 증가(0.6%)에도 불구하고 교역조건이 악화한 영향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첫날 900억, 아무도 예상 못했다”…톰크루즈에 굴욕 준 이 영화 - 매일경제
- “아들아, 생활비 안보내도 된다”…가입자 또 사상 최대 주택연금, 1조원 돌파 - 매일경제
- 나만 놓쳤나? 이제라도 살까?…증권사도 전망 손놔버린 ‘불꽃株’ - 매일경제
- “굳이 비싼 서울집 사야합니까?”…‘서울 불패’ 위협하는 GTX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주식 초고수는 지금] 2차전지 원료 사업에 뛰어든 이 회사...매수 리스트 맨 위로 점프 - 매일경
- “쓰고 싶은거 안 쓰고 모았다”…‘100조 저축’ 주머니 빵빵한 국민들 - 매일경제
- 올 여름휴가 때 국민 100명 중 17명이 이용한다는 이곳은 어디? - 매일경제
- 제네시스, 한국인만 좋아한다더니…‘벤츠·BMW 고향’ 독일인도 ‘엄지척’ [왜몰랐을카] - 매일
- 오너는 구속됐는데 주가는 고공행진…울 수도 웃을 수도 없는 이 희비극의 끝은? [매일 돈이 보
- 이정후, 시즌아웃 청천벽력...韓야구 AG 4연속 우승도 초비상 경고등 떴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