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컨설팅]자산 배분으로 ‘예금금리 플러스알파’ 찾아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Q. 2022년 하반기(7∼12월) 고금리 정기예금에 보유 자산의 대부분을 편입했던 고객 A 씨는 해당 예금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고민이 커졌다.
연 5% 수준이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최소 1∼1.5%포인트 이상 낮아진 현 금리(3.5∼4.0%)가 탐탁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예금 장단점 고려해야
경기 침체 대비할 수 있는 장기 채권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로 분산 투자
A. 올 들어 은행에서 거래하는 고객의 가장 많은 문의사항 중 하나는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될까’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총 10회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상단 기준 0.25%→5.25%)함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속적인 긴축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된 미국의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강화되고 있다.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연말까지 두 차례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는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현명한 자산 배분이 더욱 중요한 만큼 만기가 긴 국내 장기 채권 및 자산배분형 펀드로 접근해 보기를 제안한다. 정기예금의 확정 이자처럼 채권은 확정된 이표 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만기까지 유지하면 투자 원금과 함께 이자를 회수할 수 있는 안정적 수단이 될 것이다. 당장은 긴축 불확실성에 따른 금리 상승 압력이 유지되더라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물가 통제를 위한 긴축으로 과잉 대응하면서 경기 부담이 커진다면 결국 시장금리의 하락세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예상치 못한 경기 침체 이벤트에 대비하는 수단으로서 채권 중에서도 장기물에 대한 매력도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자 수익뿐만 아니라 자본 차익을 추구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불확실한 경기 여건 속에서 하나의 솔루션으로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채권, 주식, 원자재 등을 한 바구니에 담아 전문가가 매월 리밸런싱을 통해 적정 비율의 자산 배분을 지속한다는 점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황윤미 SC제일은행 청담역지점 차장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업무폭탄·학생난리…다 버거워, 놓고싶다” 극단선택 교사 일기장 공개
- 이틀 만에 또…北, 동해로 탄도미사일 발사
- 이재명의 ‘방탄’은 8월에도 가능할까 [김지현의 정치언락]
- 팔 대신 로봇팔로 라이딩 “세상에 한발짝 더”[장애, 테크로 채우다]
- [단독]檢, ‘이재명 최측근’ 김용-정진상 이번주 소환조사 방침
- “양평고속道 백지화는 충격요법”…국토부, 재추진 시사
- 北 “中 대표단 방문”…코로나 이후 첫 외빈 초청
- 한기호, ‘초등교사 사망’ 가짜뉴스 유포자·김어준 고소
- “26일 신림역서 여성 20명” 살인 예고글에 경찰 추적
- 신림 살인범, 범행 10분전 마트서 흉기 훔쳐 택시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