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100조원↑…'양날의 검' 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소비 감소,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가계 저축이 코로나19(COVID-19) 이전보다 100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100조원 이상의 초과저축을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실물 및 금융상황의 높은 불확실성에 따라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지연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에 따른 소비 감소,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가계 저축이 코로나19(COVID-19) 이전보다 100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 저축은 빚 상환에 사용되지 않았다. 대신 유동성이 높은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 형태로 남아 있었다.
이렇게 쌓인 초과저축은 향후 한국 경제의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초과저축이 소비 증가로 이어져 경기 회복을 이끌 수 있단 기대도 있지만 반대로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돼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를 부추길 수 있단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24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간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가계에 축적된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2022년 우리나라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 명목 민간소비의 9.7~12.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한은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역 연준의 방법론을 적용해 팬데믹 이전 추세를 상회하는 가계 저축액을 초과저축으로 정의했다.
초과저축을 소득계층별로 살펴보면 고소득층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팬데믹 이후 타이트한 노동시장,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등으로 임시직에 비해 상용직의 정액급여가 높은 오름세를 보인 영향이다. 또 팬데믹 기간 중 호황을 누린 금융·IT(정보통신) 산업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특별급여가 크게 오른 점도 고소득층의 초과저축 증가에 기여했다.
시기별로 보면 팬데믹 초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소비 감소'가 초과저축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에는 임금상승과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급 등 '소득 증가'가 저축 확대를 이끌었다.
이렇게 쌓인 초과저축은 다른 주요국과 달리 부채 상환에 쓰이지 않았다. 미국과 유로지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2021년 이후 낮아지고 있는 데 반해 한국은 코로나19 이후 높아진 수준을 유지 중이다.
우리나라 가계는 초과저축분을 주로 예금, 주식 등 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팬데믹 이후(2020~2022년중) 현금·예금, 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006조원 늘어나 코로나19 이전(2017~19년중 591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문제는 100조원이 넘는 초과저축이 향후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다. 긍정적·부정적 요인이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긍정적인 측면을 보면 소비 부진을 완충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향후 소득이 줄어드는 '소득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가계가 초과저축분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초과저축이 민간소비 하방리스크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아울러 초과저축이 소비 지출 증가로 이어지면 민간소비 증가를 이끌어 GDP 반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반면 우려 섞인 전망도 있다. 초과저축을 부동산과 주식 투자 등을 위한 일종의 대기자금 성격으로 보유한 가계가 많기 때문이다.
한은 역시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부동산 투자 시장으로 흘러가는 것을 경계한다.
조주연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100조원 이상의 초과저축을 유동성 높은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실물 및 금융상황의 높은 불확실성에 따라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 지연 등으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광범 기자 socool@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선우은숙, 저녁 식사비 1만원 제한?…유영재 "5000원 올려줬다" - 머니투데이
- 이병헌, 옥수동 빌딩 '240억'에 매입…월 임대료만 8500만원 - 머니투데이
- '돌싱글즈4' 소라 "고급 외제차 사주던 전남편, 별거 전 매일 폭행" - 머니투데이
- "신지랑 결혼하면 안 돼?" 김지선 제안에…김종민 "가족" 선 긋기 - 머니투데이
- "두렵고 속상했다"…추자현, ♥우효광 불륜설 이야기 도중 눈물 - 머니투데이
- 로또 1등 당첨자 안타까운 근황…"아내·처형 때문에 16억 아파트 날려" - 머니투데이
- '故송재림과 열애설' 김소은 "가슴이 너무 아프다"…추모글 보니 - 머니투데이
- 전성기 때 사라진 여가수…"강남 업소 사장과 결혼, 도박으로 재산 날려" - 머니투데이
- '숙명의 한일전' 3-6 패배…프리미어12 조별리그 탈락 위기 - 머니투데이
- "돈으로 학생 겁박"…난장판 된 동덕여대, '54억' 피해금은 누가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