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년간 가계 초과저축 100조 원 이상…소비보다 예금 · 주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사태를 약 3년간 겪으면서 우리나라 가계가 이전보다 100조 원 이상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4일) 공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19 팬데믹 3년 동안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 원으로 추산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가계는 초과저축을 추가적 소비 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를 약 3년간 겪으면서 우리나라 가계가 이전보다 100조 원 이상 더 저축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방역 등으로 소비가 강제로 제약된 상황에서 소득은 늘고 정부 지원까지 더해졌기 때문입니다.
가계가 이른바 팬데믹 이전 추세를 초과하는 저축을 한 건데, 가계는 이런 '초과 저축'을 주로 예금이나 주식 등 금융자산을 불리는 데 썼지만 대출을 적극적으로 갚지는 않았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4일) 공개한 '팬데믹 이후 가계 초과저축 분석과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19 팬데믹 3년 동안 가계부문 초과저축 규모는 101조∼129조 원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4.7∼6.0%, 민간소비의 9.7∼12.4% 수준입니다.
이 분석에서 초과저축은 팬데믹 이전 추세를 웃도는 가계 저축액으로 정의됐습니다.
결국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면서 가계의 저축 규모가 과거 통상적 수준보다 최소 100조 원 이상 더 불었다는 뜻입니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팬데믹 직후의 소비 감소와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이 꼽혔습니다.
저축률 상승분을 저축 동기에 따라 분해한 결과에서도 절반 이상을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제약 등 '비자발적 요인'이 차지했습니다.
가계는 이처럼 풍부한 저축을 소비 재원으로 활용하거나 부채 상환, 자산 취득 등에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가계는 초과저축을 추가적 소비 재원으로 활용한 부분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지난해까지 이어진 고용 호조에 정부 지원까지 더해져 소득 여건이 좋았기 때문에, 저축까지 헐어 소비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2020∼2022년 명목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 늘었는데, 증가율이 팬데믹 이전 2017∼2019년(3.6%)보다 높았습니다.
그렇다고 가계가 이 저축을 주로 대출 상환에 쓴 것도 아닙니다.
조주연 한은 동향분석팀 과장은 "금리 상승으로 부채 상환 유인이 커졌지만, 우리나라 가계의 디레버리징(차입 축소·상환)이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이라며 "2020∼2022년 가계의 금융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크게 늘었는데, 이는 우리 가계가 초과저축을 부채 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대신 가계는 초과저축을 주로 예금·주식 등 유동성이 좋은 금융자산의 형태로 보유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은 국민계정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은 2020∼2022년 현금·예금·주식·펀드를 중심으로 1천6조 원 늘었습니다.
2017∼2019년(591조 원)의 거의 두 배에 이릅니다.
조 과장은 "팬데믹 기간에 가계는 100조 원 이상의 초과저축을 축적했고, 이를 금융자산 형태로 보유하고 있다"며 "이는 가계가 실물경제와 금융의 큰 불확실성 때문에 향후 추이를 관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습니다.
또 초과저축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유동성 좋은 금융자산 형태의 초과저축은 앞으로 실물경제 측면에서 부정적 소득 충격이 있을 때 완충 역할을 하면서 민간 소비의 하방 위험을 줄여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초과저축은 금융 불안의 잠재 요인으로도 지목됐습니다.
조 과장은 "최근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가계 초과저축이 대출과 함께 주택시장에 재접근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주택가격 상승, 가계 디레버리징 지연 등으로 금융 안정에 부정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한국은행 제공, 연합뉴스)
유덕기 기자 dky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갑자기 털썩 주저 앉더니…" 일본 열차서 흉기 난동 3명 부상 [스브스픽]
- "스트레칭 도우려고 뛰어와 등에 올라탄 대학생, 유죄"
- 40도 폭염에 분변 냄새도…"더는 일 못해" 드러누운 낙타
- "진짜 맞아?" 밭에서 뽑은 무에 깜짝…발가락까지 생생한 '무다리'
- 땡볕 아래에서 땀 줄줄…폭염에 아이 내몬 부모들, 왜?
- "고양이 모래로 꽉 막힌 배관…저층 거실까지 물 넘쳐"
- [Pick] 여친 주먹에 남친 니킥…'차 안 난투극' 연인의 최후
- "한국 힘들어" 떠난 여성, NYT 주목한 800만 유튜버 됐다
- "남명렬에 손편지로 사과"…손석구, '가짜 연기' 발언 해명
- 3명 목숨 구한 '지하차도 의인', 신형 화물차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