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권 시인 '눈은 어머니를 꿈꾸며 지상에 내려왔을까?'출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승권 시인이 두 번째 시집 '눈은 어머니를 꿈꾸며 지상에 내려왔을까?'를 '문학들 시인선'으로 펴냈다.
첫 시집 '정어리의 신탁'이 문명 비판과 비상식적인 현실에 대한 대응력을 위해 낯선 실험을 감행한 것이었다면 이번 시집은 정감 넘치는 전라도 입말로 남도 서정시의 특장을 보여준다.
전라도 입말의 박자며 높낮이, 예컨대 "∼라우"라는 가락과 정감을 아는 독자라면 이 시가 왜 전라도 입말로밖에 표현될 수 없었는지 수긍이 갈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최승권 시인이 두 번째 시집 '눈은 어머니를 꿈꾸며 지상에 내려왔을까?'를 '문학들 시인선'으로 펴냈다.
첫 시집 '정어리의 신탁'이 문명 비판과 비상식적인 현실에 대한 대응력을 위해 낯선 실험을 감행한 것이었다면 이번 시집은 정감 넘치는 전라도 입말로 남도 서정시의 특장을 보여준다.
우선 그의 시 '조도 미장원'을 보자.
'쑥 톳 미역 우럭 장애 간재미 하네들이//몸뻬 다리를 꼬고 바다를 보며 한나절 나란히 앉아 머리를 푸르게 말고 있다.//여긔 오문 시상 엄니들 야그 다 돌돌 말려서 빠마된당께라우//고구마 한 솥 나눠 먹은 노을 속 검은 날개 새 떼들은//흐린 유리창 밖 구불구불한 파도를 이고 주름진 고샅길을 잘도 넘어간다.'
'하네'는 할머니를 가리키는 전라도 입말이다. 이 시는 전남 진도에 속한 섬, 조도의 미장원 풍경을 그린 것이다. 시인은 조도 아짐(아줌마)들의 한나절 삶을 바다와 바다 것들, 쑥이며 톳 미역 등과 한 몸으로 엮었다.
입말이 두드러지는 구절을 굳이 표준어로 바꾸어 보자면 '여기 오면 세상 어머니들 이야기 다 돌돌 말려서 파마된다니까'라는 뜻이 된다. 전라도 입말의 박자며 높낮이, 예컨대 "∼라우"라는 가락과 정감을 아는 독자라면 이 시가 왜 전라도 입말로밖에 표현될 수 없었는지 수긍이 갈 것이다.
'노을 속 새 떼들도 고구마 한 솥을 나눠 먹고 구불구불한 파도를 이고 주름진 고샅길을 잘도 넘어가는' 풍경에는 삶의 희로애락을 전라도 산등성과 논밭처럼 자연스레 넘어가려는 시인의 시선이 긍정의 깨우침처럼 배어 있다.
표준어의 시대일수록 토속어의 자리는 비좁아진다. 한 지역의 입말에는 그 지역의 삶이 배어 있다. 한 지역의 언어가 사라지면 그 지역의 삶도 사라진다.
사람이고 언어고 표준만 남게 되면 특별한 것은 이상한 것, '촌놈' 취급을 받게 된다.
늘어지다 다그치고 맺다가 푸는 가락과, 청중을 웃고 울리는 능청과 해학은 지극히 전라도적인 것이다.
서편제 판소리와 들노래, 다시래기 등이 그렇다. 가깝게는 김영랑, 김지하, 송수권의 시들이 그렇다. 무등산 위로 아침이 오는 풍경을 마치 카메라의 롱테이크처럼 묘사한 시 '낳다와 열리다'는 한 편의 서사시 같은 광경을 선사한다.
'산포 작은댁 맨드라미 꽃벼슬 암탉은/신새벽 높다란 대나무 횃대에 올라/세 번이나 목청을 칼칼하게 돋우어서/동녘 하늘을 불그레레 낳는다//아따, 아침이 왔부러당께에∼!//그 통에/장작불에 뜨뜻했던 솜이부자리가 열리고/정제의 부뚜막이 뭇쇠솥 수증기로 푸웃! 열리고/들녘의 어둠을 막아선 사립문짝이 열리고/골목 끝까지 작은 들창문들이 스르륵 열리고/싸리닭장문이 살금살금 열리고/작은 대소쿠리에 달걀이 졸랑졸랑 열리고/노오란 노른자를 쏘옥 넘기는/작은댁 큰형의 목구멍이 대문보다 더 크게 열렸다//아침마다 햇노랑 무등은/달걀 모양의 탱글탱글한 태양을 낳고/태양은 보드레레한 산포 작은댁을 낳고/산포 작은댁은 방학 때마다 어린 나를 다시 둥그렇게 낳았다'
독자들이 시를 읽다 '아따, 오지내~'라고 한마디 추임새라도 넣지 않고는 배기기 힘들다.
해학은 대상과 현장에 매몰되어서는 나올 수 없는 장기다. 그의 시가 비장한 것은 어둠과 빛을 함께 바라보는 균형감 때문이다. 그는 어둠을 노래할 때도 그늘에 박혀 있지 않고 빛을 끌어와 씩씩하게 꿈꾸게 한다.
그의 시 '민들레 말씀'은 살바람 가득한 봄 들녘 곳곳에 피어난 샛노란 민들레꽃처럼 강건한 희망이다.
'어떻게 하다 보니/수채통 옆집에 세 들어 살아도/고개는 바싹 들고 할 말은 하고 삽니다.//빛방울만 몇 떨어진다면/물곰팡이 피는 시간도 구부려서/작고 노란 태양으로 한껏 펼쳐낼 수 있습니다.'
곽재구 시인은 추천사에서 "세월 속에서 자신이 가장 사랑한 시간의 꽃들을 찾아내고 그 꽃이 지닌 그리움과 향기 속에 읽는 이를 서성이게 하는 것. 좋은 시가 지닌 본질의 힘일 것"이라며 "한 편의 시가, 하나의 이미지가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 생각하게 된다"고 했다.
시인은 광주 양림동에서 태어나 석산고, 전남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를 수료했다. 1986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겨울수화' 당선으로 등단했다. '금시'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kanjoy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성관계 안한지 몇년"…전현무, 결혼 관련 숏폼 알고리즘 들통
- 홍준표 "이재명에 징역 1년 때린 대단한 법관, 사법부 독립 지켜" 극찬
- 생후 30일 미모가 이정도…박수홍, 딸 전복이 안고 '행복'
- 서점서 쫓겨난 노숙자 부른 직원 "다 못 읽으셨죠? 선물"…20년 후 반전
- "제일 큰 존재"…'사혼' 박영규, 54세 나이차 막둥이 딸 최초 공개
- '이나은 옹호 사과' 곽튜브, 핼쑥해진 외모 자폭 "다른 이유 때문"
- 실종됐다는 5세 아동, 알고 보니 진돗개 숭배 사이비 단체 범행
- 배다해, ♥이장원과 결혼 3주년 자축 "지금처럼만 지내자 여보" [N샷]
- "로또 1등 당첨돼 15억 아파트 샀는데…아내·처형이 다 날렸다"
- "자수합니다"던 김나정, 실제 필로폰 양성 반응→불구속 입건(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