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잘 먹어야 출세한다”? 알코올과 당신의 연봉,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한중일 톺아보기]

신윤재 기자(shishis111@mk.co.kr) 2023. 7. 23. 09:5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중일 톺아보기-105]
한국은 음주 문화가 강한 나라입니다. 일단 술소비량이 많습니다. WHO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인의 연간 알코올 소비량은 8.7ℓ로 동아시아에서 가장 많았습니다. 고위험 음주율도(1회 평균 음주량 남성 7잔 이상·여성 5잔 이상·주 2회 이상)20%에 육박했죠. 코로나 펜데믹 기간 줄어들었다곤 하나, 여전히 한국인들의 알콜 소비량은 많은 편입니다.(2020년 기준 OECD 38개국중 18위)

폭음 비율이 일본, 대만과 비교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미국 국립 알코올 중독연구소가 알코올 14g을 2시간 내 5번 이상 마실때를 폭음으로 정의했을때 한국인들은 일본, 대만에 비해 폭음 비율이 적게는 3배에서 많게는 7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죠.

음주에 유별나게 관대한 모습도 있습니다.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음주운전 등 음주 후 각종 범죄를 저질러도 가중 처벌은 커녕 심신미약을 이유로 감형을 해주기도 하는 나라죠.

그런데 한국보다 술소비량이 적고 폭음도 덜하고 음주 감형도 없는 일본에서 “술 잘마시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돈을 잘번다”는 말이 정설처럼 통용된다고 합니다. 실제로 술자리에서 계약이 성사되거나 승진여부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하니 실체 없는 이야기 같지는 않습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일본의 한 연구팀이 실험을 통해 음주 능력과 소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념과 사뭇 다른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었습니다.

日연구팀, 알콜 분해능력에 따라 3개국 국민 분류해 실험
[연합뉴스]
일본 도쿄대 연구팀은 최근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추출해 음주와 소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팀은 지난 2019년 국립 대만대, 한국 서울대와 함께 공동연구로 동아시아인은 서양인과 달리 ‘유전적 요인’에 따라 알코올 분해능력이 높은 사람과 약한 사람이 나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습니다.

연구팀이 적시한 유전적 요인 이란, 체내에 알코올이 들어갔을 때 사용되는 효소의 활성화를 의미합니다. 보통 체내에 들어간 알코올은 △알코올 탈수소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고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해 무해한 아세트산이 된 뒤 △최종적으로 CO2와 물로 분해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효소에는 여러 형태가 있는데 그 형태는 부모로부터 하나씩 무작위로 물려받습니다. 이때 형태가 어떻게 조합 되느냐로 알코올 내성의 강약이 결정되게 되죠.

이때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팀은 다른 요인은 배제한채 유전적인 알코올 분해능력 유무라는 기준만으로 비교 대상을 분류하기로 했습니다. 만 25세~59세 사이의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총3500명의 직장인(일본인 2000명, 대만 1000명, 한국인 500명)이 비교 대상으로 선정됐습니다.

분류결과, 3개국 국민의 54%는 알코올 내성이 강하고 46%는 알코올 내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알코올 내성은 국가마다 다소 다르게 나타나 한국은 약 60%, 일본과 대만은 약 52%가 가지고 있어 한국인들이 일본, 대만인들보다 내성을 보유한 비율이 크게 나타났죠.

그런데 분류해 놓고 보니 유전적으로 알코올 분해능력이 높은 사람들은 실제로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평소 더 자주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분류된 사람들을 음주 습관, 소득, 주당 근무 시간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술 잘먹는 사람과 못먹는 사람 유의미한 소득差 없어...음주와 소득은 ‘허위상관관계’
[연합뉴스]
조사 결과, 수입은 알코올 내성이 강한 사람(술을 잘마시는 사람)이 월 4311달러, 알코올 내성이 약한 사람은(술을 못마시는 사람) 월 4288달러였습니다. 도쿄대 연구팀은 “겨우 23달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술을 안마시는 사람은 술을 잘마시는 사람보다 일하는 데 소비하는 시간이 길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해당 조사에서 양자의 근로시간 차이도 0.28시간에 불과했습니다.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즉, 술을 잘 마시는지와 소득 사이에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셈입니다.

그렇다면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소득이나 출세에 유리하다’는 통념은 왜 생긴 것일까요?

해당 실험을 주도한 도쿄대 경제학 연구과 가와구치 다이지 교수는 “술 잘마시는 사람들이 외향적이고 외교적 성격으로 음주가 업무에 도움이 되는 영업직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 그런 유형의 사람이 소득이 높을 가능성도 부정할 순 없다”고 말했습니다. 음주가 아니라 어떤 성격의 사람이 어떤 업무에 종사하느냐가 수입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뜻입니다. 가와구치 교수는 “때문에 (음주와 소득은) 허위상관관계에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허위 상관(spurious correlation)이란 두개 이상의 변수가 실제로 인과관계가 없는데 다른 요인 때문에 그럴 듯한 관계에 있는 듯한 상황을 말합니다. 음주와 소득이 얼핏 인과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성격과 직업이라고 하는 별개의 요인이 숨어 있다는 겁니다.

해당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굳이 비즈니스때문에 어쩔수 없다고 생각해 무리해서 술을 마실 필요는 없다는 겁니다. 애초에 술이란건 소득이나 출세에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자가 즐겁기 위해서 마시는 것이니까요.

다음회에선 NICE 신용평가그룹 베트남 법인장 출신 유영국 작가로부터 ‘한국기업의 베트남 투자와 진출의 허와실’에 대해 들어봅니다. 하단 기자페이지 ‘+구독’을 누르시면 쉽고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인터뷰 영상은 매일경제 월가월부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