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의 남다른 K-콘텐츠 사랑… 투자 배경은

양진원 기자 2023. 7. 23. 06: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K-콘텐츠에 꽂힌 사우디①] 미국 눈치 덜 보는 콘텐츠, 스마트 도시 네옴시티와 '찰떡'

[편집자주]석유로 먹고 살던 중동의 부국 사우디아라비아가 달라졌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의 주도로 빠르게 탈석유 시대를 준비 중이다. 한국 정보통신(IT) 기업들은 사우디의 새로운 여정에 동행할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경쟁력을 갖춘 'K-콘텐츠'가 아직 저평가됐다는 판단에서다. 사우디는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게임사 지분을 인수하거나 기술 관련 업무협약(MOU)을 맺어 전방위적으로 투자 보폭을 넓히고 있다. 국내 IT 기업과 추가 협력을 이어 나갈 전망이지만 경영권 분쟁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미래 먹거리로 'K-콘텐츠'를 점찍고 투자 보폭을 넓히고 있다. /그래픽=이강준 기자
◆기사 게재 순서
① 사우디의 남다른 K-콘텐츠 사랑… 투자 배경은
② 사우디, 국내 IT 기업 투자 및 MOU 속도… 결실 언제쯤
③ IT업계에 부는 모래 바람… 득일까 실일까
사우디아라비아의 남다른 한국 사랑이 주목받고 있다. 중동의 대표 산유국으로 막대한 자금력은 갖춘 사우디는 탈석유시대를 대비할 미래 먹거리로 K-콘텐츠를 낙점했다. 국내 정보통신(IT) 기업은 물론 게임회사 지분도 사들이며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초거대 스마트시티인 '네옴시티'를 건설하려는 사우디에게 콘텐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국내 기업들은 매력적인 선택지다.


사우디아라비아, 저평가된 K-콘텐츠 공격적인 투자


사우디아라비아 비전2030 관련 이미지. /사진=로이터
사우디의 국부펀드(PIF)는 세계적인 규모의 펀드로 운용자산이 500조원 이상이다. 막강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국내 게임사 지분을 매입하고 있다. 최근 넥슨 재팬(넥슨 일본법인)의 지분 632만주를 추가로 사들여 지분율을 약 10%까지 확보, 5대 주주로 올라섰다.

국내 대표 게임사 엔씨소프트도 공략 대상이다. 지난해 초까지 지속적인 지분 매입을 통해 지분율을 9.3%까지 끌어올렸고 창업주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에 이은 2대 주주가 됐다. PIF 산하 새비 게임스 그룹 자회사 나인66는 지난 2월 위메이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사우디 투자부(MISA)도 PIF와 보조를 맞춰 한국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서브컬처 게임 '승리의 여신: 니케'를 개발한 중소 게임사 시프트업과 지난해 11월 업무협약(MOU)을 맺고 게임 산업 개발과 육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 네이버와는 지난 3월 디지털 전환을 위한 포괄적 협력에 합의했다.

이러한 행보는 사우디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고 있다. 빈 살만 왕세자는 '비전 2030 프로젝트' 중심으로 탈석유 경제 체제를 대비하면서 자국의 백년대계를 그리고 있다. 올해 거대 석유 기업 아람코 지분 4%(약 800억 달러)를 PIF로 추가 이전해 자금을 수혈하기도 했다.

한국에 투자 행보가 집중되는 이유는 몇 년 동안 지속된 K-콘텐츠 열풍이 배경으로 꼽힌다.

넷플릭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퉈 한국 콘텐츠 잠재력에 주목해 투자 규모를 늘리는 가운데 사우디 역시 궤를 같이하고 있다. 성장 가능성이 충분한 데다 저평가된 측면도 있어 투자처로 적합하다는 판단이다.


미국과 갈등하는 사우디, IT·콘텐츠 집중하는 이유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기업 아람코. /사진=로이터
IT 기술과 콘텐츠 산업이 상대적으로 투자하기에 자유롭다는 점도 배경이다. 기존 금융산업은 규제 장벽이 높은 데 비해 콘텐츠는 현재 갈등 관계인 미국의 감시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사우디는 미국의 전통적인 우방국이었지만 2018년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사망 사건 이후 미국이 사우디의 인권 침해 문제를 거론하면서 사이가 틀어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7월 사우디아라비아를 직접 찾아 원유를 증산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사우디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에서 감산을 주도했다.

IT 업계 관계자는 "사우디가 미국과 각을 세우고 있지만 무시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금융 같은 전통적 산업에 진출하려고 할 경우 미국의 견제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접국 아랍에미리트(UAE)가 일찌감치 두바이를 글로벌 금융 허브로 육성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중동 금융산업에서 선두 주자 역할을 내준 상황에서 금융을 신사업으로 육성할 경우 의미가 퇴색될 수 있는 까닭이다.

네옴시티가 국내 IT 기업들에게 사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투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관측된다. 네옴시티는 사막 한가운데 길이 170km의 직선으로 건설되는 스마트 시티인 만큼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보유한 네이버, LG CNS 등이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5000억달러(약 650조원)로 추산되는 초대형 건설 프로젝트인 만큼 국내 IT 인프라가 적용된다면 막대한 이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구축될 네옴시티 IT 인프라와 가장 잘 접목되는 분야가 콘텐츠이기도 하다. 스마트 도시에 우수한 콘텐츠가 더해진다면 도시 수준이 한층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IT업계 관계자는 "국내 IT 기술이 네옴시티의 뼈대를 만드는 것이라면 콘텐츠는 그 안을 채워줄 수 있는 요소"라고 말했다.

양진원 기자 newsmans12@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