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 강조한 남명 유학 현대적 가치 알리는 곳
● 남명 조식 사상 연구와 교육에 전념
● 실천 강조한 한국 선비 정신 敬義
● ESG 경영, 공직 청렴과도 일맥상통
도화(桃花) 뜬 맑은 물에 산영(山影)조차 잠겼다.
얘야 무릉도원이 어디냐. 나는 여기인가 싶구나.
조선시대 유학자 남명 조식이 남긴 시조다. 시조의 배경은 경남 산청군 시천면이다. 두류산은 지금의 지리산이다. 시천면에서는 어디서든 고개를 들면 지리산 자락이 보인다. 지리산의 산세가 동네를 끌어안은 모양새다. 시천면으로 들어오는 도로 옆에는 강이 흐른다. 물이 맑아 산이 비칠 정도다. 지리산의 두 갈래 물길, 시천천과 삼장천이 합쳐지는 덕천강이다. 덕천강 자락 한구석에 산천재라는 작은 집이 하나 있다. 조식이 환갑이 넘어 시천면에 지은 집이다. 그는 말년에 찾은 무릉도원에서 제자를 키워냈다.
산천재가 있는 자리에서 도로를 하나 건너면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이하 선비문화연구원)이 보인다. 최구식 선비문화연구원장은 "나는 이곳을 산천재 제2캠퍼스라고 부른다"며 "산천재가 조선시대 조식의 가르침을 전하던 곳이라면, 현대에는 선비문화연구원이 조식의 사상을 연구하고 알리는 일을 한다"고 소개했다.
선비문화연구원은 교육 외에도 남명의 실천 유학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비문화연구원 관계자는 "실천 유학을 알리고, 이 사상을 현대에 접목하기 위해 학술대회, 국제회의 개최 등 다방면으로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선비문화연구원의 입구에는 "학문은 실천을 통하여 그 빛을 발한다"는 글귀가 적혀 있다. 선비문화연구원 관계자는 "조식의 가르침을 한 문장으로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선비문화연구원 측의 설명에 따르면 조식은 살아생전 제자들에게 경(敬)과 의(義)를 강조했다. 경은 세상의 옳고 그름을 공부하는 일을 말한다. 의는 공부한 내용을 실천하는 자세다. 당대 철학자들은 경에 집중했다. 세상의 원리와 옳고 그름에 대해 탐구했다. 조식은 공부만큼이나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공직자, 기업가도 경의 사상에 관심 커
거절은 상소의 명분일 뿐이었다. 조식은 상소 한줄 한줄에 왕실과 정국에 대한 비판을 눌러 담았다. 특히 문정왕후를 두고 "한낱 과부에 지나지 않는다"며 외척의 정치참여를 통렬히 지적했다. 명종은 이에 크게 분노했지만 신하들의 만류로 조식을 벌하진 못했다. 당시 상황을 담은 조선왕조실록은 단성소를 다음과 같이 평한다.
"정성스럽게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이 언사(言辭)에 드러났다. (내용이) 강직하여 (임금에게 진언하는 일을) 회피하지 않았다. 조식의 명성은 거짓이 아니었다. 그는 어진 사람이다."
상소의 내용이 세간에 알려지자 조식은 유명 인사가 됐다. 조식에게 학문을 배우러 수많은 선비가 산천재를 찾았다. 조식은 죽을 때까지 이곳에 머물며 제자를 길러냈다. 스승의 강직함과 실천 정신은 제자들에게 그대로 이어졌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조식의 제자들은 의병을 일으켰다. 홍의장군 곽재우, 경상 지역 의병 도대장 김면, 그리고 광해군 집권기 영의정을 지낸 정인홍이 조식의 제자들이다.
400년 넘어도 향 잃지 않은 조식 가르침
6월 22~23일에는 통영시청 공무원 40여 명이 선비문화연구원을 찾았다. 이들과 함께 이틀을 선비문화연구원에 머물며 '청렴 선비문화 체험교육'을 받았다. 첫날 강의에서는 조식의 생애와 그가 남긴 글귀로 경의 사상을 배웠다. 조식이 퇴계 이황에게 보낸 편지 등 다양한 내용이 강단에 올랐다. 편지에는 조식이 얼마나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했는지가 드러나 있다. 조식은 이황에게 "요즘 선비들은 빗질 하나 제대로 할 줄 모르면서 입으로는 천하의 이치를 논합니다"라며 "원로인 이황이 이들을 꾸짖어 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이야기가 한 시간 넘게 이어져도 누구 하나 집중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만큼 강의는 흥미로웠다. 강의는 최 원장이 직접 했다. 그는 "매번 첫 강의는 직접 하고 있다"며 "강의 자료를 매번 새로 준비하는 노력도 있지만, 조식이라는 인물 자체가 현대인의 흥미를 끈다"고 설명했다. 잘못됐다면 위아래를 막론하고 거침없이 지적하는 모습에 감화되는 사람이 많다는 것. 강의가 끝난 뒤 식사시간이 되자 공무원 몇 명이 최 원장을 둘러쌌다. 나이는 많아야 30대 초반 정도로 보였다. 그들은 뜻깊은 강의였다며 최 원장에게 조식의 삶에 대해 몇 가지를 묻고 흩어졌다. 학교에서도 보기 힘든 광경이었다.
김 연구원은 "칼 찬 선비라는 별명에는 조식이 병법에도 관심을 뒀다는 의미가 있다"며 "조식은 성리학 외에도 노장사상, 의학, 병법 등 백성의 삶을 낫게 할 방안이라면 공부하던 학자"라고 덧붙였다.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Copyright © 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