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의 시대’ 아닌 다채로운 시대

한경환 2023. 7. 22. 00: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빛의 시대, 중세
빛의 시대, 중세
매슈 게이브리얼, 데이비드 M 페리 지음
박수철 옮김
까치

‘중세’라고 하면 대번에 떠오르는 연관검색어는 아마 ‘암흑’일 것이다. 그동안 중세 천 년을 암흑시대라고 일컫는 것에 대한 거부감은 거의 없었다고 봐도 무방했다. 14세기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프란체스코 페트라르카가 서로마제국이 몰락한 이후를 유럽에 빛이 사라진 시대로 보고 ‘어둠’이라는 말을 사용하면서 ‘중세=암흑’이라는 공식이 자리를 잡았다.

그런데 그런 중세를 ‘빛의 시대’라고 정면으로 반박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미국 버지니아공대 중세학 교수 매슈 게이브리얼과 미네소타대 역사학과 교수 데이비드 M 페리다. 이들은 과연 어떤 연유에서 그런 담대한 주장을 펼 수 있을까. 『빛의 시대, 중세』를 통해 지은이들은 조목조목 기존 주장들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다채로운 중세를 증명해 보였다.

이탈리아에 있는 갈라 플라키디아 영묘의 천장이 별로 가득한 하늘처럼 장식된 모습. [사진 까치]
일반적으로 중세는 서기 467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황제 폐위에 따른 서로마제국의 멸망에서 시작해 르네상스가 열리기까지 천 년을 잡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책의 지은이들은 아직 로마가 망하기 전인 서기 430년께 어느 화창한 날 지금의 이탈리아 동북부 아드리아해 연안에 위치한 라벤나의 산 비탈레 성당 조그만 예배당 공사장에서 중세 이야기를 시작한다. 장인들은 예배당의 천장을 짙푸른 하늘처럼 표현하기 위해 유리 테세라를 모르타르 위에 눌러 붙였다. 그들은 금빛 유리 조각들을 가져와서 그 건물의 천장을 별들로 가득 채웠다. 이 성당을 지은 사람으로 추정되는 갈라 플라키디아에게 헌정된 영묘에 반짝이는 별들은 5세기 예술가들의 비범한 재능을 보여 준다. 이 공간은 새로운 기독교 시대로 이행한 로마제국의 성스러운 예술적, 정치적, 기술적 문화의 지속성을 드러내는 징표다.

서로마제국이 멸망한 이후에도 유럽에 들어선 많은 왕국의 지도자들은 지중해 동부에 왕성하게 살아 숨 쉬는 로마제국(동로마제국)과의 유대를 통해서 정치적 정통성을 주장하는 방법을 찾아냈다. 도시로서의 로마는 이 시기 내내 여전히 사회적, 문화적 생산의 장소로 기능했다. 로마제국은 중세에도 호흡했다는 게 역사적 사실로 입증된다.

유럽이 중세에 들어선 시기에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부상한 광활한 이슬람제국이 전성기를 누렸다. 일반적인 편견과는 달리 이슬람제국은 이교도에 포용적이었고 이들이 살고 번성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줬다. 예루살렘에서도 기독교인들은 오래전부터 늘 살아온 방식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었다. 심지어 이슬람 세계에선 중세를 종식시키고 르네상스를 불러온 고대 그리스·로마의 유산들이 고스란히 승계되고 발전되기조차 했다.

중세 천 년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종교적 전통, 언어가 존재했다. 유럽의 과학자들은 하늘을 쳐다보며 별을 관측했고 대학을 설립했으며 세계적인 과학혁명에 기여할 토대를 닦았다. 중세에 공존했던 바이킹과 몽골제국, 흑사병 그리고 독특한 공동체 길드의 의미도 재음미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의 지은이들은 1321년 라벤나의 영묘 예배당 공간에서 중세가 끝났다고 설정한다. 중세의 ‘마지막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가 우주 전체를 포괄하는 원대한 상상력의 작품인 『신곡』의 마지막 편 ‘천국’을 쓰면서 이 예배당의 모자이크로부터 영감을 얻었을 것이라고 상정했다.

메디움 아이붐(medium aevum·중간시대) 중세는 결코 단순하거나 명확하지 않고 뒤죽박죽이고 인간적이다. ‘기독교 맹신과 폭력, 무지만이 이 시대를 지배했다’고 섣불리 단정할 수 없으며 중세에도 지금처럼 사람들은 다채롭게 살았다. ‘암흑시대 중세’라는 딱지가 과연 유럽 백인 남성의 시각에서 붙여진 것인지에 대해서는 새 빛으로 재조명해 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한경환 기자 han.kyunghwa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