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역개발 공모사업 11곳 선정…최대 125억 원 국비 지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지역의 주거·관광·산업 여건을 개선하고, 특화산업 육성 등 맞춤형 성장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 11건을 선정했다.
지역개발 공모사업은 지역에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비 최대 100억 원과 규제특례 등을 제공하는 '투자선도지구'와 기반시설 및 생활편의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최대 25억 원을 지원하는 '지역수요맞춤지원'으로 구분해 선정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21일 지역의 주거·관광·산업 여건을 개선하고, 특화산업 육성 등 맞춤형 성장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지역개발사업 11건을 선정했다.
지역개발 공모사업은 지역에 민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국비 최대 100억 원과 규제특례 등을 제공하는 ‘투자선도지구’와 기반시설 및 생활편의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최대 25억 원을 지원하는 ‘지역수요맞춤지원’으로 구분해 선정하고 있다.
투자선도지구사업으로 선정된 곳은 강원 동해시의 무릉별유천지 관광자원화, 강원도 양구군의 스포츠 행정복합타운, 강원도 양양군의 양양역세권 개발, 전남 영광군의 e-모빌리티 클러스터 등 4곳이다.
동해시의 무릉별유천지 관광자원화는 폐광산을 문화·관광 시설로 활용하기 위해 모노레일, 수상교량, 정원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양구군은 2027년 개통예정인 양구역을 중심으로 스포츠행정타운과 빌드업센터 등을 조성해 사계절 생활스포츠 산업 발전을 도모한다.
양양군은 2027년에 개통하는 양양역을 중심으로 주거, 공공·업무시설, 특산물 홍보시설 등을 조성해 역세권 복합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영광군은 e-모빌리티를 지역의 특화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e-모빌리티 지원 Complex와 특화공원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은 강원 정선군과 충북 괴산군, 보은군, 충남 공주시, 전남 구례군, 경북 영주시, 경남 하동군 등 7곳을 선정했다.
먼저 강원 정선군의 아트플랫폼은 지역의 창작명소화 및 주민복지 증진을 위해 예술발전소 및 레지던스를 신축한다.
충북 괴산군의 한지복합문화센터에서는 갤러리, 소공연장, 체험실 및 공방, 아트숍 등이 포함된 한지공작소를 조성한다.
보은군의 동거동락 나누는 어울터는 1년 살아보기 귀농귀촌 힐링타운 조성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20호와 어울림센터, 치유정원 등을 설치한다.
충남 공주시는 100년 역사를 지닌 정안초 작은학교 살리기와 연계해 임대주택 10호와 공동이용시설, 이음정원 등 설치할 예정이다.
전남 구례군은 농촌한달살기와 함께 농번기 일손 숙소 제공을 위해 공유하우스와 주차장 조성 등 ‘워킹 촌스데이 in 구례’ 사업을 추진한다.
이밖에 경북 영주시는 서천둔치길와 원당천 산책로 등을 연결한 순환형 산책로 개발을 위한 보행교를 설치한다.
경남 하동군은 하동차엑스포와 연계한 지역관광 활성화 등을 위해 체험존, 창업지원센터, 먹거리타운 정비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김정희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올해 선정된 사업이 원활한 사업추진을 통해 지역의 관광·산업 등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관 지역정책과(044-201-3669)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국 지역개발 공모사업 11곳 선정…최대 125억 원 국비 지원
- 친환경 선박 건조비용 최대 30% 지원…사업대상 모집
- 과기정통부, 통신3사와 ‘새만금 세계잼버리’ 통신장애 예방 점검
- 충청권 마약류 중독재활센터 개소…재활 및 사회복귀 지원
- 가명처리된 공공데이터 개방 촉진…‘개인정보 안심구역’ 시범 도입
- 공동육아나눔터 ‘신한 꿈도담터’ 35곳 추가…내년 183곳으로 늘어
- 6.25전쟁 참전용사 64명 한국에 온다…4형제 모두 참전했던 로티 家도
- 지구를 구하는 일상 속 분리배출 - 비닐 편
- 등산러를 위한 특허 아이템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리는 ‘문화의 장’이 넓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