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소행성에 우주선 충돌로 생긴 ‘37개 바위’ 우주를 떠돌다 [우주를 보다]

박종익 2023. 7. 21. 14:4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9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우주선을 고의 충돌시키는 실험 여파로 우주를 떠돌게 된 37개 바위의 모습이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모은 이 실험은 한국시간으로 지난해 9월 27일 오전 8시 14분 다트(DART) 우주선이 지구에서 1100만㎞ 떨어진 소행성 디디모스(Didymos)의 위성인 디모르포스와 충돌하면서 시작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소행성에 우주선을 고의 충돌시키는 실험 여파로 우주를 떠돌게 된 37개 바위의 모습이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사진=NASA, ESA, David Jewitt (UCLA); Alyssa Pagan (STScI)

지난해 9월 인류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에 우주선을 고의 충돌시키는 실험 여파로 우주를 떠돌게 된 37개 바위의 모습이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소행성 디모르포스(Dimorphos)의 모습을 사진으로 공개했다.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모은 이 실험은 한국시간으로 지난해 9월 27일 오전 8시 14분 다트(DART) 우주선이 지구에서 1100만㎞ 떨어진 소행성 디디모스(Didymos)의 위성인 디모르포스와 충돌하면서 시작됐다.이날 DART 우주선은 초속 6.1㎞로 날아가 당초 목표했던 디모르포스와 일부러 충돌하면서 운명을 다했다.

충돌 여파로 디모르포스의 먼지와 파편이 생겼으며 이후 소행성 뒤로는 혜성같은 꼬리가 형성됐다. NASA는 우주선의 디모르포스 충돌로 인해 1000톤이 넘는 먼지와 암석이 우주공간에 흩뿌려진 것으로 분석했다.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다트(DART) 우주선의 소행성 충돌 과정

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당시 충돌로 인해 많은 소행성의 바위들이 우주 공간을 떠돌게 된 모습이 담겨있다. 사진을 보면 소행성 주위에 점처럼 보이는 많은 물체들이 보이는데 이는 바로 바위들로 NASA는 총 37개를 확인했다. NASA에 따르면 이 바위들은 직경이 0.9~6.7m로 다양한데 소행성 표면 위에 있던 것들이 충돌로 떨어져 나온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충돌 2초 전 촬영된 사진을 보면 소행성 표면 위에 수많은 바위들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다.

UCLA 행성 과학 및 천문학자 데이빗 쥬잇 교수는 "소행성이 충돌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처음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현재 바위들은 시속 0.8㎞의 느린 속도로 소행성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트(DART) 우주선이 소행성 충돌 직전까지의 모습

이처럼 DART 우주선이 디모르포스와 충돌한 이유는 미래에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소행성과 충돌해 그 궤도를 변경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것이었다. 곧 미래에 지구를 위협할 수 있는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려는 장대한 실험인 셈으로 제로 디디모스의 주위를 도는 디모르포스의 궤도 주기가 33분 변경되면서 실험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한편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는 폭발물을 탑재하지 않은 500kg정도의 작은 우주선으로 지난 2021년 11월 24일 발사됐다. DART 우주선의 실험장이 된 디모르포스는 직경 160m의 작은 소행성이지만 만약 지구와 충돌한다면 대형 핵무기급 파괴력을 가질 수 있다.
 

박종익 기자 p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