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모자라..” 빚내서 빚 갚아도 ‘허덕’...밀린 카드값만 7조 원 ‘훌쩍’
카드론 잔액 35조.. 지난해보다 1조 이상↑
리볼빙 등 잔액 증가.. 지난 2월 이후 최대
고물가·고금리, 가계 재정 악화 “금전 의존”
취약계층 연체율 악화, 리스크 관리 ‘긴장’
서민 급전 창구인 카드대출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드론’ 잔액이 35조 원 수준에, 카드값을 내지 못해 결제를 미룬 일부금액이월약정(리볼빙) 잔액이 지난 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7조 원을 웃돌았습니다.
‘빚내서 빚을 갚는 식’의 악순환은 계속되고 금융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면서, 이용자는 물론 카드사의 신용 리스크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21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카드 등 주요 카드사 7곳의 상반기(1~6월) 기준 카드론 잔액은 34조 8,326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말 33조 6,404억 원보다 3.5%(1조 1,922억 원) 늘어난 수준으로, 월별 기준 올해 최고였던 5월 말보다 소폭(0.4%) 감소했지만 안심할 수준이 아니라는 지적입니다.
대표적인 ‘급전’ 수단인 단기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잔액도 크게 줄지 않았습니다.
7개 카드사의 지난달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 3,278억 원으로 월별 올해 2위를 기록했습니다.
더구나 리볼빙 잔액은 7조 2,614억원으로 지난 2월 이후 최대치로 나타났습니다.
밀린 카드값이 7조 원이 넘는다는 얘기로, 리볼빙은 결제 대금이나 현금서비스 대금 중 일부만 갚고 나머지를 다음 달로 이월해 갚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급전이 필요할 때는 유용한 수단으로 꼽힙니다.
그만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카드사에 따라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에 육박하는 이자가 얹어지기 때문입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카드사 7곳 현금서비스 평균 수수료율은 17.45~18.41%(1분기 기준), 리볼빙 평균 금리도 15.52~17.88%(5월 기준)로 조사됐습니다.
최고 수수료율은 모두 19%대 후반으로 법정 최고금리에 육박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상황에도 고금리·고물가로 가계 상황이 어려워지는 가구가 계속 늘고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카드사 급전에 기대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같은 흐름이 이어지면 금융 취약계층의 건전성은 물론, 카드사의 신용리스크 역시 부실해질 우려가 불거지는 실정입니다.
급전이 시급한 저신용자나 다중채무자 등 취약 차주들이 주로 찾는 리볼빙, 현금서비스 잔액 규모가 커지면 연체율이 뛰고, 카드사 부실 위험도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올 1분기 연체율은 7개 카드사 중 현대카드(0.95%)를 제외한 나머지 6개사가 1%대로 올라서기도 했습니다.
세부적으로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국민의힘·비례대표) 의원이 금융감독원에게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 등 7개 카드사 리볼빙 서비스의 연체액은 1,500억 원, 연체율은 평균 2.38%로 집계된 바 있습니다.
지난 1분기 기준으로만 5조 5,400억 원이던 리볼빙 이월잔액은 올해 1분기 기준 7조 3,400억 원으로 2년 만에 32.5% 폭증하기도 했습니다.
카드론 연체액과 연체율도 증가세로, 카드론 연체액은 2021년 1분기 6,200억 원이었던게 지난해 말부터 급격히 증가해 올 1분기 7,600억 원으로 늘고, 이 기간 연체율도 1.79%에서 2.13%로 증가세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실적 부담도 더해집니다. 가맹점 수수료는 지속 내림세에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등 지출은 꾸준한 탓입니다.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 자금조달원인 여신전문금융채(AA+, 3년물) 금리는 여전히 4.2%대를 유지 중으로, 지난해 초 2.4%대와 비교하면 두 배 수준으로 그만큼 조달 비용이 상승했습니다.
더불어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까지 맞물리면서 당분간 실적 개선이 쉽지 않으리란 전망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관련해 금융권 한 관계자는 “실질적인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급전 서비스 이용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차주의 원리금 상환 등을 유도하는 방안을 병행해야할 것”이라며 “카드사들 역시도 자체 성장 위주에서, 리스크 관리 등에 더 내실을 기해야할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 (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