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이 中서 왔다고?…"고려 덧옷·조선 치마, 당대 패션 주도"

김예나 2023. 7. 21. 09: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입던 옷이 과거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유행을 주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윤정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은 고려시대 복식과 고려양을 연구·분석한 글에서 "14세기 원 제국에서 유행한 '고려양'은 전근대 한중 관계에서 전례 없는 문화적 현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 복식 문화사' 학술회의
고려 복식은 궁중서도 인기…"문화 전파 아니라 상호 교류 측면 봐야"
경복궁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한복 퍼레이드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5일 경복궁에서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한복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2022.10.5 kan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입던 옷이 과거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유행을 주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누리꾼을 중심으로 한복이나 갓 등 한국의 전통문화가 중국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 잇따르는 가운데 나온 내용이라 주목된다.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21일 '명나라의 조선 드레스 열풍과 조선 전기 여성 한복'을 연구한 글에서 "15세기 조선의 옷이 명나라의 부유층 패션을 휩쓸었다"고 분석했다.

구 연구위원은 이날 오후 재단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는 '한국 복식 문화사: 한국의 옷과 멋' 학술회의에 앞서 공개한 발표문에서 마미군(馬尾裙) 사례를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 중국, 일본의 옛 치마 비교 왼쪽부터 16세기 유물로 추정되는 경기 양주시 남양 홍씨 묘 출토 치마를 복원한 모습, 8세기 작품인 '잠화사녀도'의 일부, 18세기 류큐(琉球) 지역의 미인도. 풍성한 형태의 조선시대 치마는 중국, 일본의 복식과 차이를 보인다. 각 사진은 구도영 연구위원의 논문에서 발췌한 것.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마미군은 말총으로 만든 여성의 속옷, 즉 페티코트(petticoat)를 일컫는다.

치마 안에 받쳐 있는 속치마로, 바깥에 입는 치마를 풍성하게 부풀려주는 역할을 했다.

구 연구위원은 명나라 시기에 나온 저술인 '숙원잡기'(菽園雜記) 등을 토대로 "조선의 마미군은 해상 교역을 통해 명나라 최고의 패션도시인 쑤저우(蘇州)에 전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상하이(上海) 등 '강남' 지역사회에 마미군 열풍이 일면서 강남 여성은 물론, 고위급 남성 관료들까지 입어 명나라 정부에서 우려를 나타낼 정도였다"고 짚었다.

그는 말총이 주로 제주에서 나는 점을 들어 "그동안 한·중 관계의 외변에 위치한 제주도와 중국 강남 지역의 문화교류 사례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가박물관이 소장한 15세기 작품 '명헌종원소행락도' 그림에 표현된 사람들의 복장을 보면 속치마인 마미군을 입어 치마가 마치 우산처럼 펼쳐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구도영 연구위원의 논문에서 발췌한 그림.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구 연구위원은 명나라에서 유행한 마미군이 문화교류의 역사를 상징한다고 봤다.

그는 "최근 중국 온라인과 학계 동향을 보면 중국이 주변국에 문화를 전파하기만 한 것처럼 설명하는 경우가 많지만, 마미군 사례를 보면 문화 상호 교류의 측면을 재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학술대회에서는 마미군에 앞서 14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복식 문화와 생활 양상인 '고려양(高麗樣)'도 다룬다.

김윤정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은 고려시대 복식과 고려양을 연구·분석한 글에서 "14세기 원 제국에서 유행한 '고려양'은 전근대 한중 관계에서 전례 없는 문화적 현상이었다"고 설명했다.

원나라 말기 관인이 쓴 시 '궁중사'(宮中詞)에는 '궁중에 의복이 고려 양식을 새롭게 숭상하니, 방령(方領)에 허리까지 오는 반비(半臂)라네'라는 구절이 나온다.

원나라 '방령'과 대전에서 출토된 '방령' 왼쪽은 중국 실크박물관이 소장한 원나라 대 방령 반비, 오른쪽은 대전역사박물관이 소장한 송효상 묘 출토 방령 상의. 사진은 김윤정 연구원의 발표문에서 발췌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대해 김 연구원은 "원 궁정에서 유행했다고 하는 '방령에 허리까지 오는 반비'는 모난 맞깃이 달리고 허리까지 오는 짧은 소매의 덧옷을 뜻하며, 고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복식 문화는 시대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산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고려 복식문화의 흐름은 새로운 문화를 추구하면서도 그 속에 함몰되지 않는 자신들의 문화를 관철해 나갔으며, 시대의 변화에 조응해 끊임없이 재구성해 가는 과정이었다"고 언급했다.

이날 열리는 학술대회에서는 깃을 둥글게 만든 관복인 조선시대 단령(團領), 조선 후기 여성의 패션, 조선의 갓과 모자 등을 다룬 주제 발표도 이어진다.

재단은 "한국 복식의 특징과 역사성을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대한 이해를 제고해 한·중 시민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단서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학술대회서 발언하는 이영호 이사장 (서울=연합뉴스) 이영호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2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동북아역사재단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공동 주최한 '한국 복식문화사: 한국의 옷과 멋' 학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7.21 [동북아역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