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그래도 비싼 빵값, 더 오르게 생겼네”…국제 곡물시장에 무슨 일이

진영태 기자(zin@mk.co.kr) 2023. 7. 20. 20: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러 “흑해 운반선 군사 화물 간주”
옥수수 가격도 이틀 연속 올라
러 “우리가 대신 수출” 제재 해제요구
IMF “혼란 장기화...인플레 우려”
2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남부 오데사의 한 건물이 러시아군 미사일 공격을 받아 불타고 있다. 이번 공격으로 오데사와 미콜라이우에서 최소 20명이 부상했다. 2023.07.20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곡물수출을 보장한 ‘흑해곡물협정’을 종료한 데 이어 운반선에 대한 공격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곡물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9월분 밀 선물가격이 하루새 11% 넘게 뛰어오르자 국제통화기금(IMF)은 국제곡물시장의 장기혼란과 그에 따른 식품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우려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 밀 선물 가격(9월 인도분)은 장중 전날대비 11.4%까지 상승한 1부셀당(약 27.22kg) 7.43달러까지 급등했다. 하루 가격상승률로는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후 가장 컸다. 옥수수 가격도 이틀 연속 올라 지난 18일에 5.63%, 19일엔 3%이상 상승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주요 곡물가격은 지난 17일 러시아의 흑해곡물협정 종료선언이후 상승세를 보이고있다. 특히 러시아 국방부가 19일 텔레그램을 통해 “모스크바 시간으로 자정(한국시간 20일 오전 6시)부터 우크라이나로 가는 모든 선박은 잠재적으로 군용 물자를 실은 선박으로 간주하며 해당 선박의 국적국도 우크라이나 분쟁의 당사자로 보겠다”고 선언하며 곡물가 상승을 부추겼다.

미국 백악관은 흑해에서 운항 중인 곡물운반선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아담 호지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항구 접근로에 해저지뢰를 설치했다”며 “이것은 흑해에서 민간선박에 대한 공격을 정당화하고 우크라이나를 비난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밝혔다.

러시아는 지난 이틀간 우크라이나 최대항구인 오데사의 시설을 연달아 공격하며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오데사 항구는 우크라이나 수출의 70%가량을 책임지는 주요시설이다. 러시아측은 “오데사 항구 인근의 군사시설을 타격했다”고 밝혔지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고의로 곡물거래 인프라는 집중 공격했다”며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으로 수출 대기 중인 곡물 6만t이 파괴됐다”고 반박했다.

러시아가 오데사 항구를 공격하고 곡물 수출항로까지 막는 데는 자국에 대한 수출 제재를 풀겠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19일 내각회의에서 “러시아 곡물과 비료 수출을 제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며, 농업 분야와 관련된 러시아 자산의 동결도 해제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흑해곡물협정을 지렛대로 활용해 러시아의 곡물수출과 해외 금융거래 제제를 풀어달라는 취지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에겐 어떤 약속이나 제안이 아니라 그것의 이행이 필요하다”면서 “이런 조건들이 이행되면 러시아는 곧바로 협정에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곡물수출을 막으면서 자국의 곡물수출을 허용해 줄 경우 아프리카 등 빈곤국에 공급하겠다고 전했다. 전쟁 전 양국은 세계 밀과 보리 수출량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주요 식량 공급국이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곡물은 터키에 위치한 수출조정센터를 거쳐 전세계에 출하돼 왔다. 러시아의 협정종료와 공격위협 탓에 18일부터 흑해 곡물운반선은 보험가입까지 거부되면서 향후 곡물시장은 대량 공급부족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국가에서 러시아 제재를 쉽게 풀어주기 어렵기 때문에 사태의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 남부 오데사 건물 내부에 18일(현지시간) 러시아군이 발사한 칼리브르 순항미사일 일부가 떨어져 있다. 크림대교 폭발 사건 발생 다음 날인 이날 러시아는 드론(무인기)과 미사일을 동원해 우크라이나 남부와 동부 지역에 대규모 공습을 가했다. 2023.07.18 [사진 = 로이터 연합뉴스]
블룸버그통신은 “우크라이나의 오데사 항구는 곡물수출의 동맥으로 현재 수확이 한참 진행 중”이라며 “항구포격과 농작물 터미널 공격을 복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장기적으로 무역에 방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우크라이나가 강이나 육로로 곡물을 운송할 수 있지만 훨씬 번거롭고 비용도 많이 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IMF는 “우크라이나 곡물에 크게 의존하는 북아프리카, 중동, 남아시아의 식량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식량 안보전망이 악화하고 저소득 국가의 식품 인플레이션이 가중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수석경제학자 아리프 후세인은 “이미 수십개국의 인구 수백만 명이 두 자릿수의 물가상승률로 고통받고 있다는 점에서 (곡물협정) 중단 시점은 잔인하다”며 “가장 취약한 인구 및 국가가 식량을 구하고 저렴하게 사들일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