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6 폭행 피해' 교사 남편의 절규···"사과 한마디 없는 부모, 치 떨려"

차민주 인턴기자 2023. 7. 20. 18: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초등학생 제자에게 무차별 폭행을 당한 교사가 전치 3주 진단을 받았다는 사실이 전해져 논란이 된 가운데 피해 교사의 남편이 가해 학생을 엄벌에 처해 달라고 호소했다.

지난 19일 피해 교사의 남편 A씨는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제 아내가 폭행을 당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해 이같이 밝혔다.

A씨는 이어 "법 앞에서 그 부모와 학생이 진심으로 반성하고 사과하길 바란다"라며 C군의 엄벌을 요구하는 탄원서 작성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기 초부터 폭행 시달려···남편 손길에도 움찔거려"
A교사 폭행 피해 모습. 사진=서울교사노동조합 제공
[서울경제]

초등학생 제자에게 무차별 폭행을 당한 교사가 전치 3주 진단을 받았다는 사실이 전해져 논란이 된 가운데 피해 교사의 남편이 가해 학생을 엄벌에 처해 달라고 호소했다.

지난 19일 피해 교사의 남편 A씨는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제 아내가 폭행을 당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해 이같이 밝혔다.

A씨에 따르면 피해 교사인 B씨는 학기 초부터 남학생 C군의 폭행에 시달려왔다. C군은 다른 학생들을 무차별 폭행했고, 이를 만류하는 B씨까지 가해했다.

A씨는 “더 황당한 건 (C군의) 부모에게 전화했지만 ‘미안하다, 괜찮으시냐’ 말 한 마디 없었단 것”이라며 “’우리 애가 소리에 민감하다, 혹시 싸움을 말리려다 그런 것 아니냐’라는 등 말 같지도 않은 소리를 했다”라고 했다.

B씨는 불면증에 시달리며 정신과에 다녀야 할 만큼 상태가 나빠졌다. 이런 상황에도 B씨는 C군의 마음을 열기 위해 C군이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며 색연필 세트와 스케치북 등을 사다줬다. C군이 좋아하는 체스를 함께 두기 위해 체스를 배우기도 했다.

그러나 C군의 욕설과 폭행은 나날이 심해졌다. 지난달 30일에는 C군이 체육 시간과 자신의 상담 시간이 겹쳤다는 이유로 화를 참지 못하고 B씨에게 책을 집어던지면서 욕설을 쏟아냈다.

B씨가 C군에게 “또 선생님을 때리면 고소할 수 있다”라고 말하자 C군은 B씨를 들어서 던지고, 주먹질과 발길질을 했다. 가위를 집어던지며 위협하기도 했다.

A씨는 “이거 특수폭행 아니냐. 화가 뻗친다. 선생님을 그렇게 패는 애가 어딨냐”라며 “아내는 그런 상황에서도 요새는 소리 지르면 정서적 학대라는 말을 어디서 들어서 소리도 못 지르고 머리만 감싼 채 참았다고 한다”라고 토로했다.

A씨는 사건 당일 병원으로 달려가 아내의 상태를 확인하고 충격을 받았다. B씨는 얼굴이 부은 채 코피를 흘리고 있었고, 입안은 찢어져 있었다. 또 얼굴부터 팔다리까지 온몸에 멍이 든 채 한 손에는 반깁스를 하고 있었다.

A씨는 “아내를 안아주려는 찰나 (아내가) 움찔거리며 뒤로 물러섰다”라며 “저인 걸 알지만 손이 닿으면 맞을 때의 느낌이 떠오른다고 하더라. (C군에게) 분노가 차올랐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A씨는 C군의 부모가 사과 한 마디조차 건네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C군) 부모는 전화 한 통 없다. 학교엔 ‘미안하긴 하지만 우리 애 탓만은 아니다. 선생님도 잘못이 있다’라고 했다”라며 “이대로 있으면 평생 제 아내 탓이라고 말하고 다닐 것 같아 치가 떨린다”라고 했다.

A씨는 이어 “법 앞에서 그 부모와 학생이 진심으로 반성하고 사과하길 바란다”라며 C군의 엄벌을 요구하는 탄원서 작성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20일 피해 교사의 법률 대리인에 따르면 이날 다른 교사들이 엄벌을 요구하는 탄원서 1800장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서울교사노동조합은 “사건 20일 뒤에야 교권보호위원회가 열렸고, 교육지원청도 교사를 적극 지원하지 않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차민주 인턴기자 mj0101@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