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생활권인데도 격차 커지는 생활임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낮은 임금을 받는 직·간접 고용 노동자들의 생활안정을 돕자는 취지로 생활임금을 앞다투어 지급하고 있으나 같은 생활권인데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부산시당은 20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자치단체의 생활임금을 조사했더니,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곳 가운데 대구시를 뺀 16곳에서 생활임금을 지급하고 있다. 16곳의 올해 평균 생활임금은 시간당 1만1162원이다"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들이 낮은 임금을 받는 직·간접 고용 노동자들의 생활안정을 돕자는 취지로 생활임금을 앞다투어 지급하고 있으나 같은 생활권인데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부산시당은 20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자치단체의 생활임금을 조사했더니,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곳 가운데 대구시를 뺀 16곳에서 생활임금을 지급하고 있다. 16곳의 올해 평균 생활임금은 시간당 1만1162원이다”라고 밝혔다. 시간당 1만1162원은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 9620원에 견줘 1542원(16%) 많다. 주 40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6만1680원, 월 160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24만67200원이 많다.
생활임금을 가장 많이 지급하는 광역자치단체는 광주다. 시간당 1만1930원인데 가장 적은 대전 1만800원에 견줘 1130원(10.4%)이 많다. 월 160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광주 직원들의 생활임금이 대전 직원들에 견줘 18만800원이나 많다.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평균 생활임금 1만1162원에 미치지 못하는 곳은 서울·강원·인천·제주·부산·경남·충북·울산·세종·충남·대전 등 11곳이다. 경북·전남·전북·경기·광주 등 5곳은 1만1162원 이상이다.
기초자치단체도 생활임금 격차가 있다. 부산의 16개 구·군 가운데 생활임금 조례가 없는 곳이 강서·금정·동·영도구 등 4곳이다. 생활임금 조례가 있는 12곳의 시간당 평균 생활임금은 1만952원이다. 시간당 최저임금 9620원에 견줘 1332원(13.8%) 많다. 가장 적은 곳은 북구인데 1만658원이다. 가장 많은 곳은 수영구인데 1만1074원이다. 두 지역의 격차는 416원이다. 월 160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격차는 6만6560원이다.
생활임금 적용대상도 천차만별이다. 부산시는 직접고용·출자출연기관·위탁기관·위탁업체 노동자와 위탁기관·위탁업체 하수급인이 고용한 노동자들이 대상이지만 동래·부산진·북·사하·서·수영·연제·해운대구는 직접고용 노동자만 대상이다.
진보당 부산시당은 “연제구 기간제 노동자 209명의 생활임금 전 임금은 42억원이고 생활임금 적용 때 받는 임금은 44억원이다. 연제구가 실제 추가로 소요되는 인건비는 고작 2억원인데 연제구 민간위탁기관 노동자 539명은 생활임금 적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자치단체들은 공공부문 민간위탁 기업뿐 아니라 대부분 최저임금을 받는 경비·청소·돌봄 등 민간 필수노동자부터 생활임금 적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분향소에서 “오송 갔다고 바뀔 건 없어”…유족 마음 할퀸 김영환
- 장갑차도 못 버틴 물살, 맨몸으로 수색…“군인이 소모품인가”
- 2년차 초등교사의 극단 선택…교사노조 “학생 간 갈등 힘들어해”
- [아침햇발] ‘시럽급여’로 드러난 보수의 은밀한 전쟁
- [단독] ‘해결사’ 양평군 국장, 승진 직후 양평고속도로 변경안 결재
- 김건희 일가 ‘공흥 특혜’ 기소 공무원이 양평도로 종점 변경안 제시
- 교사 극단선택 서초구 초등학교 “해당 학급 정치인 가족 없어”
- 인명피해 8곳 중 ‘산사태 취약지역’ 1곳뿐…새 대응책 필요
- [단독] 거제씨월드, ‘무책임 번식’ 전에 돌고래 폐사 또 있었다
- “전 정부 탓” 환경부, 4대강 ‘보 해체’ 없던 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