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류 응 교수 "AI의 인류 위협 주장은 과장...생성형AI, 또 다른 기회"

박진영 2023. 7. 20. 15: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이 인류의 멸종 위험을 초래할 것이란 주장은 지나치게 과장됐다. AI는 범용 목적을 가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술이다. 생성형AI는 또 다른 기회를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20일 오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의 '초거대 AI 모델·플랫폼 최적화 센터' 개소식 초청 강연에서 인류와 공존하는 AI 시대상을 이같이 진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초청 강연 발표..."강화학습보단 지도학습이 중요"
"AGI 시대 수십년 걸릴 것…인류 실존 위협에 대응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해야"

[아이뉴스24 박진영 기자] "인공지능(AI)이 인류의 멸종 위험을 초래할 것이란 주장은 지나치게 과장됐다. AI는 범용 목적을 가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기술이다. 생성형AI는 또 다른 기회를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앤드류 응 스탠퍼드대 교수는 20일 오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청 강연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박진영 기자]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20일 오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의 '초거대 AI 모델·플랫폼 최적화 센터' 개소식 초청 강연에서 인류와 공존하는 AI 시대상을 이같이 진단했다.

응 교수는 "그간 10억명이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막대한 재정적 가치가 창출됐지만 이제는 이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면서 "커스터마이징이 중요해졌는데 그런 측면에서 범용 기술인 AI의 가치는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우·노코드 툴을 통해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 프롬프트나 데이터 제공만으로도 각자가 원하는 AI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AI분야 세계 4대 석학으로 꼽히는 앤드류 응 교수는 2011년 구글의 AI 연구 조직인 구글브레인의 창립 멤버이자 세게 최대 온라인 공개수업(MOOC) 플랫폼 코세라(Coursera)를 공동 설립했다.

응 교수는 이 자리에서 머신러닝 방식 중 하나인 지도 학습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지도학습은 입력 a를 출력 b로 계산할 수 있는 기술로, 일례로 이메일을 입력했을 때 스탬프가 찍혔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면서 "대표적 머신러닝 방식인 강화학습은 데이터가 충분할 때 좋은 방식"이라고 언급했다.

강화학습이 지도학습에 비해 더 많은 연산과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챗GPT에 강화학습이 적용됐는데, 향후 지도학습을 통한 AI 기술·개발 연구가 중요해질 것이란 설명이다.

그러면서 AI가 인간의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범용인공지능(AGI) 시대는 쉽게 오지 않을 것이라 주장했다.

응 교수는 "AGI는 아직 수십년이 남았다. AI는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이고 AI가 하룻밤 사이 갑자기 초지능을 달성하는 시나리오는 현실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보다는 AI가 이후의 팬데믹, 기후변화 등 인류의 실존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 도구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응 교수는 이날 오후 네이버, 카카오를 각각 방문한데 이어 21일 오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가 공동 주최하는 공개 강연에 참석한다.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20일 오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이 개최한 '초거대 AI 모델·플랫폼 최적화 센터' 개소식 관련 간담회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박진영 기자]

한편, 이날 행사에서 이재진 센터장은 한국어 초거대AI 모델의 한계점으로 ▲한국어 학습 데이터 부족 ▲비효율적인 한국어 토크나이저 ▲엄격한 비식별화 도구 ▲데이터 신뢰성 등을 지적했다. 이 센터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초거대AI 모델 기술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한국어와 영어에 기반을 둔 경량AI 모델과 학습을 위한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 플랫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박진영 기자(sunlight@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