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대구·경북서 빠져나간 인구 88% 수도권으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대구와 경북에서 빠져나간 인구의 88% 이상이 수도권으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지방통계청이 20일 공개한 '인구이동 현황 및 사유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대구의 인구 순유출(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많은 경우)이 11년간 지속돼 총 16만2천여 명이 타 시도로 유출됐다.
지난해 대구의 인구이동은 전출자수(9만3천86명)가 전입자수(8만1천567명)보다 1만1천519명 많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지난해 대구와 경북에서 빠져나간 인구의 88% 이상이 수도권으로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지방통계청이 20일 공개한 '인구이동 현황 및 사유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대구의 인구 순유출(전출인구가 전입인구보다 많은 경우)이 11년간 지속돼 총 16만2천여 명이 타 시도로 유출됐다.
지난해 대구의 인구이동은 전출자수(9만3천86명)가 전입자수(8만1천567명)보다 1만1천519명 많다.
연령별로 20대(-6천533명), 50대(-2천624명), 60대(-2천491명) 순으로 많았고, 20대 남자의 순유출(3천950명)이 여자(2천583명)보다 많았다.
2022년 대구의 유출인구 중 88.5%는 서울, 경기, 대전 등 수도권으로 이동했다.
유출 요인은 사업체의 본사 비중, 고용률, 근로소득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본사 비중(1.0%)은 수도권(1.7%)보다 낮고, 전체 종사자 수에서도 본사 종사자 비중(9.2%)은 수도권(15.9%)보다 낮았다.
지난해 대구 고용률(59.1%)은 수도권(62.5%)보다 3.4%포인트 낮으며, 20대 고용률(54.2%)은 수도권(64.3%)보다 10.1%포인트 낮았다.
2021년 대구의 근로소득(3천488만원)은 수도권(4천749만원)보다 1천261만원 낮아 수도권의 73% 수준에 그쳤다.
경북에서 지난 11년간 유출된 인구수는 5만2천여 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유출인구 중 88.4%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갔다.
2022년 경북의 전출자수(11만7천678명)는 전입자수(11만12명)보다 7천666명 많았다.
연령별로 20대(-9천903명), 10세 미만(-1천915명), 30대(-1천880명) 순이다. 20대 여자(5천230명)의 순유출이 남자(4천673명)보다 컸다.
동북통계청 관계자는 "지역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가 심화하는 가운데 시도의 인구·사회정책 등을 지원하고자 인구이동 현황과 사유를 분석했다"고 말했다.
realis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제주에서 '전설의 심해어' 183㎝ 초대형 돗돔, 낚시로 잡혀 | 연합뉴스
- 광신적 美컴퓨터과학자 집단, 살인 사건 연루…우두머리 체포 | 연합뉴스
- 눈 쌓인 산속서 길 잃은 아버지와 두 자녀…소방, 무사히 구조 | 연합뉴스
- 장병 식사비 몰래 계산해준 중년 남성…"옛날 생각이 나서" | 연합뉴스
- 납치 오해해 택시 뛰어내려 숨진 대학생…80대 기사 무죄 확정 | 연합뉴스
- 홈캠에 범행 고스란히 담겨…이웃주민 상대 성범죄 70대 구속 | 연합뉴스
- 대학 붙었는데 황당한 '입학 취소'…이튿날 학원 동료의 실토 | 연합뉴스
- '대를 이어 바다 지킨다' 제2연평해전 영웅 딸 해군 소위 임관 | 연합뉴스
- 양양 하천서 50대 주민 숨진 채 발견 | 연합뉴스
- 논현동서 레미콘 차량이 횡단보도 보행자 덮쳐 사망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