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나노 소재 기술 대거 공개… 흡집나면 ‘셀프힐링’ 치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장인 A씨는 출근하려고 차를 봤더니 범퍼 쪽에 긁힘을 발견했다.
이 같은 기술은 모두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현대차·기아가 개발 중인 기술들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각기 다른 목적과 활용도를 가진 총 6개의 나노 소재 기술을 소개하고 별도의 전시 공간을 마련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기아가 나노 등 첨단 소재 기술 개발에 진심인 까닭은 소재야말로 세상 모든 모빌리티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기술은 모두 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현대차·기아가 개발 중인 기술들이다.
현대차·기아는 20일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나노 테크데이 2023’을 개최하고, 미래 모빌리티 실현의 근간이 될 나노 신기술을 대거 공개했다.
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에 해당된다. 이렇게 작은 크기 단위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배열을 제어해 새로운 특성을 가진 소재를 만드는 것을 나노 기술이라 부른다.
이번 행사는 초기 조건의 사소한 변화가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나비 효과’에서 착안해 나노 효과라는 주제로 개최됐다. 빠르게 변화하는 모빌리티 산업에서 소재 단계에서의 기술력이 완제품에서 차별적인 경쟁력을 만들 수 있다는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이날 각기 다른 목적과 활용도를 가진 총 6개의 나노 소재 기술을 소개하고 별도의 전시 공간을 마련해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손상 부위를 스스로 치유하는 ‘셀프 힐링 고분자 코팅’ ▲나노 캡슐로 부품 마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오일 캡슐 고분자 코팅’ ▲자동차와 건물 등 투명 성능 요구되는 모든 창에 적용 가능한 ‘투명 태양전지’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자랑하는 모빌리티 일체형 ‘탠덤 태양전지’ ▲센서 없이 압력만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파악하는 ‘압력 감응형 소재’ ▲차량 내부의 온도 상승을 획기적으로 저감하는 ‘투명 복사 냉각 필름’ 등이다.
현대차·기아는 1970년대부터 소재 연구를 시작해 왔다. 1990년대 후반에는 첨단 소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조직을 갖추고 대규모 투자와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나노 등 첨단 소재 기술 개발에 진심인 까닭은 소재야말로 세상 모든 모빌리티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전동화, SDV,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역시 소재라는 원천 기술이 뒷받침돼야 완벽한 구현이 가능해진다.
소재 단계에서 그 특성을 이해하고 개선하면 부품이나 완제품이 되었을 때의 문제점을 미리 알고 예방할 수 있다. 최적의 소재가 다양한 개별 기술들과 결합했을 때 전체적인 완성도도 높아진다.
이종수 현대차·기아 선행기술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기술 혁신의 근간에는 기초이자 산업융합의 핵심 고리인 소재 혁신이 먼저 있었다”며 “앞으로도 산업 변화에 따른 우수한 첨단 소재 기술을 선행적으로 개발해 미래 모빌리티에 적극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닷컴 정진수 기자 brjean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초구 20대 초등교사, 학교서 극단선택…‘학폭 민원’ 등 경위 조사
- 한기호 “서이초 다니는 손자손녀 없다…초등교사 극단선택과 무관”
- 유부남인줄 몰랐다더니…하나경, 상간녀 소송 일부 패소
- 부산 다가구주택 축대 무너져…주민 28명 긴급 대피
- ‘인하대 성폭행 추락사’ 가해자 오늘 2심 선고…1심 징역 20년
- 구명조끼도 없이…실종 해병대원 주검으로 돌아왔다
- 서초 초등교사 추모 ‘프사’ 했더니 학부모 “사진 내려라” [e글e글]
- ‘19금 퍼포먼스’ 논란 화사 “고소당한 것보다 더 걱정은”
- “당신들도 탈출해!” 보닛 잠긴 차 안 부부, 유리창 두드린 男이 살려 (영상)
- 감옥→공항→JSA…하하하 웃으며 월북한 미군 ‘미스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