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새 1조3000억 급증”…제2의 새마을금고 사태 우려에 금융권 ‘비상’
연체율 2% 넘어 바짝 긴장
특히, 일부 증권사의 경우 부동산 PF 부실 규모가 임계치를 넘어선 것으로 보여 강력한 선제적 채무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6000억원으로 3개월 만에 1조3000억원이 늘었다.
문제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익성 및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 PF 사업장이 늘면서 심각한 수준으로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는 것.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2.01%로 지난해 12월 말의 1.19%보다 0.82%포인트 급증했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020년 말 0.55%, 2021년 말에는 0.37% 수준이었는데, 올해 3월 말에는 2%를 훌쩍 뛰어 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최악인 상황에서 PF 대출 잔액이 증가하고, 연체율마저 2%를 돌파했다는 건 사업장 곳곳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증권업권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1분기 기준 8404억원으로 지난해 말(4657억원)의 2배 수준으로 늘었다. 더욱이 PF 대출 연체율이 15.88%로 2020년 말 3.37%, 2021년 말 3.71%에 비해 10% 포인트 넘게 올랐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 10.38%와 비교해도 5.5% 포인트 뛴 수치다.
부실자산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급상승했다.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6638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468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지난해 말 14.8%에서 1분기 19.8%로 증가했다.
올해 3월 말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각각 4.07, 4.20%로 지난해 12월 말에 비해 각각 2.02% 포인트와 1.99% 포인트 늘어 증권사와 더불어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 등도 위험한 상황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 A등급 이하의 캐피탈사의 경우 1개월 연체율이 지난해 말 1% 수준에서 올해 3월 3%로 올랐다. 1년 미만의 단기 차입 비중 역시 2021년 6월 43%에서 55%로 늘어나는 등 재무상황 악화가 확연한 실정이다.
우선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옥석 가리기’를 진행하고 있다. 협약이 적용된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91곳으로 이 중 66곳에 대해 만기 연장, 신규 자금 지원 등 정상화 작업이 추진 중이다.
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PF 펀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한 권리관계 조정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에 캠코는 9월부터 부동산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본격 가동한다.
캠코의 위탁을 받은 5개 운용사가 2000억원 이상의 펀드를 조성하고, PF 채권을 인수한 뒤 권리관계 조정, 사업·재무구조 재편 등을 통해 정상화를 지원키로 했다.
금융당국은 현재 펀드가 1조원 규모로 조성 됐으나 필요에 따라 투자 수요, 재정여력 등을 고려해 규모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
윤창현 의원은 “새마을금고의 인출사태에서 보듯 시장은 정부의 대책을 기다려주지 않는다”며 “일부 증권사의 부실 규모는 임계치를 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선제적 채무조정에 돌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Fxxx 한국인”…‘월북’ 주한미군 얼굴공개, 충격받은 엄마가 한말 - 매일경제
- “시체 냄새난다”…20대女 사는 오피스텔 갔더니 ‘충격적 광경’ - 매일경제
- 카카오는 벌써 뛰어들었다고? 4년 후 5조원 된다는 이 시장 - 매일경제
- “서울로 대학만 보내면 끝날 줄 알았는데”…치솟는 월세 부모들 ‘멘붕’ - 매일경제
- 공매도 세력이 당했다?...손해본 주식 갚으려다 ‘주가 급등’ 속출 - 매일경제
- “처음 온 새내기인데”…서울 초등교사 극단적 선택, 무슨일이 - 매일경제
- “누구나 공짜로 쓰세요”…메타 승부수 던진 ‘라마2’ 위력은 - 매일경제
- “결국 최저임금 1만원 넘은 셈”…사장님도 알바생도 불만 터진 까닭 - 매일경제
- “새집 언제 들어가나요?”...첫삽 못뜬 3기 신도시 ‘200억대 철거권’ 논란 왜 - 매일경제
- 케빈 심, 애리조나와 37만 5천$에 계약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