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물 관리 부처’ 정권 따라 오락가락… 조직 아닌 인프라가 문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와 여당이 이번 홍수 피해를 계기로 지난 정부가 환경부로 이관한 물 관리 업무를 국토교통부로 재이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예전엔 국토부가 수량 관리를 통한 홍수·가뭄 예방 업무를 해왔는데 수질 관리를 하는 환경부가 국토부의 수량 관리 업무까지 맡은 후로 장마철 홍수 피해가 커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같은 업무를 하던 사람들이 환경부와 국토부를 오락가락하면 안정적인 물 관리에 오히려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정부가 물 관리를 환경부로 일원화한 후 큰 수해가 날 때마다 환경부의 치수 역량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 것은 사실이다. 최근 집중호우로 오송 지하차도 침수의 원인이 된 미호강을 비롯해 지역 하천 170곳의 제방이 유실됐다. 2020년 장마 때는 섬진강댐 수위를 미리 낮추지 않아 1600억 원의 재산 피해를 냈다. 하지만 국토부가 물 관리를 할 때도 크고 작은 수해는 있었다. 환경부가 하천 관리까지 하게 된 것도 2018년 역대 최장 장마로 물난리가 난 것이 계기였다. 국토부로 물 관리 업무를 재이관한 후 수해가 나면 그땐 또 누구 탓을 할 건가.
현재 환경부에는 국토부에서 물 관리 업무를 하던 공무원 300명이 넘어와 일하고 있다. 환경부의 치수 역량이 문제라면 ‘국토부로 원상 복귀’를 주장하기 전에 조직 관리와 예산 배분에서 수량과 수질 관리라는 물 관리 목표 간 균형을 잡고 있는지 점검해 개선책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같은 업무를 하던 사람들이 환경부와 국토부를 오락가락하면 안정적인 물 관리에 오히려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다.
기상 이변이 잦아지면서 물 관리 실패라는 인재(人災) 못지않게 기록적인 강수량 자체가 홍수의 피해를 키우고 있다. 하천의 중요도에 따라 80∼200년 만에 한 번 오는 홍수에 대비한 지금의 방재시설 설계 기준을 상향 조정하고, 3만 ㎞에 달하는 3800여 개 하천을 국토부, 환경부, 행정안전부가 쪼개 관할하고 다시 지방자치단체에 위임, 재위임하는 분절된 하천 관리도 손봐야 한다. 이렇게 꼭 필요하지만 어려운 방재 인프라 재정비는 놔두고 ‘전 정부의 환경부 이관 탓’ 같은 쉬운 희생양 찾기에만 몰두한다면 국민 안전을 지킬 수 없고 정치적 갈등만 키우게 될 것이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61시간 근무 편의점주 “내가 더 일해야”… 최저임금 인상 한숨
- [김순덕 칼럼]‘무정부 상태’ 오송 지하차도, 이태원 참사와 뭐가 다른가
- [단독]“文 청와대, 사드 추가반입 보고받고도 ‘보고누락’ 몰아”
- [단독]국정원, 대북방첩센터 해체… 인사파동 핵심인사가 센터장 지내
- 尹, 외국정상 첫 美핵잠 올라 “北 핵도발땐 정권 종말”
- [단독]상습침수에도… 청주시, 오송 지하차도 ‘위험’ 지정 안해
- 실종자 수색 중 급류에 휩쓸린 해병대원, 숨진 채 발견
- 서초구 20대 초등교사, 학교서 극단선택…‘학폭 민원’ 등 경위 조사
- [단독]‘부산 참사’후 의무화한다던 지하차도 자동차단시설 1곳만 설치
- 檢, 이재명 7말8초 ‘쌍방울 대북송금’ 조사후 영장청구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