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5000억 들인 재난통신망, 이태원 이어 오송 참사 때도 무용지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자치단체와 경찰, 소방 등이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해 예산 1조5000억 원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지난해 이태원 핼러윈 참사에 이어 이번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참사에서도 제 역할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도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지하차도 통제 요청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참사 당일인 15일 지하차도 침수 직전 충북도, 충주시, 경찰에 미호강 범람 위험을 알리는 신고와 보고가 24차례 접수됐다. 특히 사고 발생 약 40분 전인 오전 7시 58분에는 “궁평 지하차도를 통제해달라”는 112 신고가 들어왔다.
경찰은 이 신고 내용을 즉시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에 전달했다. 이 통신망에 참여한 충북도, 청주시, 흥덕구청, 관할 경찰서와 소방서는 따로 연락을 주고 받지 않아도 통신망을 통해 신고 내용을 인지할 수 있었지만, 어느 한 곳도 지하차도를 통제하지 않았다.
충북도는 당시 긴박한 상황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지하차도 통제 요청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청주재난상황01) 통화그룹에 충북도청도 참여자로 포함돼 있어 경찰의 상황 전파를 충북도청이 직접 수신할 수 있었다”고 반박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져 2021년 가동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이태원 참사 당시 경찰은 경찰대로, 소방은 소방대로 자체 통신망으로 상황을 전달하면서 인파 통제와 구조대·구급차 진입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행안부에서도 “버튼만 누르면 유관기관 간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는데 작동이 잘 안 됐다”는 자성이 나왔다.
이후 정부는 올 1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강화를 주요 과제로 포함시켰다. 또 행안부는 월 1회 관계기관 합동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 사용을 몸에 익히기 위해 훈련 체계 전반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혜진기자 sunrise@donga.com
청주=장기우 기자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 외국정상 최초로 美 핵잠수함 올라…“北, 핵 도발땐 종말”
- 檢 “박완주, 보좌관 강제 추행…직권남용, 명예훼손 혐의 추가”
- 영화 ‘친구’ 속 칠성파 두목 이강환 사망…경찰 ‘긴장’
- “구명조끼도 안 입히고 이런게 어딨어”…실종 해병대원 부모 오열
- “당신들도 탈출해!” 보닛 잠긴 차 안 부부, 유리창 두드린 男이 살려 (영상)
- 감옥→공항→JSA…하하하 웃으며 월북한 미군 ‘미스터리’
- 고교생 제자와 부적절 관계…30대 여교사 집유
- 초6 학생이 여교사 무차별 폭행…“학생들 앞에서 수십 대 맞았다”
- 뉴질랜드 법원, ‘가방 속 아동시신’ 한인 여성 신상 공개
- ‘오송 지하차도 참사’ 수사본부 교체…서울경찰 수사관 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