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서 월북한 미군 “하하하 웃더니 갑자기 뛰어가”…바이든 대통령도 보고받아

이재연 2023. 7. 19. 14: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 언론들은 18일(현지시간) 전날 자진 월북한 미군 병사에 대한 보도들을 쏟아냈다.

그러나 ABC 방송 등은 미 관리들을 인용해 그가 한국인들과 말다툼을 한 뒤 수용시설에 47일간 구금됐고, 석방 후 한국 내 미군 기지에서 약 1주일 간 감시받았다고 보도했다.

CNN 등도 미 당국자를 인용해 그가 구금에서 풀려난 뒤 추가 징계를 위해 17일(현지시간) 텍사스주 포트블리스로 이송될 예정이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위스콘신주 WISN-TV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견학하다가 월북한 주한미군 트레비스 킹(Travis King·23)이 위스콘신주 러신군 출신이라며 그의 얼굴을 공개하고 어머니를 인터뷰했다. 방송화면 캡처

미 언론들은 18일(현지시간) 전날 자진 월북한 미군 병사에 대한 보도들을 쏟아냈다. AP 등에 따르면 그는 올해 23세인 이등병 트레비스 킹으로, 2021년 1월 정찰병으로 입대했다. 미 육군에 따르면 주한미군 순환 근무기간 중 육군 제2보병사단에 배속됐다가 현재 행정 절차상 제4보병사단 제12보병연대 제2여단 전투단 제1대대 소속이다.

그는 한국에서 폭행 혐의로 거의 두달 간 구급됐다가 지난 10일 풀려났는데 구체적 이유는 공식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ABC 방송 등은 미 관리들을 인용해 그가 한국인들과 말다툼을 한 뒤 수용시설에 47일간 구금됐고, 석방 후 한국 내 미군 기지에서 약 1주일 간 감시받았다고 보도했다.

CNN 등도 미 당국자를 인용해 그가 구금에서 풀려난 뒤 추가 징계를 위해 17일(현지시간) 텍사스주 포트블리스로 이송될 예정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그는 공항에서 비행기를 타지 않고 돌연 민간 여행사의 JSA 견학에 참여했다. 호송 인력이 공항에서 세관까지 그를 따라갈 수 없었기 때문에 그가 공항을 벗어날 수 있었다고 미 당국자는 전했다.

미 언론들에 따르면 그와 같은 투어 그룹이었던 목격자는 “판문점의 한 건물을 견학했을 때, 그가 갑자기 크게 하하하 웃더니 건물 사이로 뛰어갔다”고 설명했다. 당시 가이드들이 그를 뒤쫓았으나 잡지 못했고 북한 병사들이 구금했다고 한다.

미 정부는 18일 그가 자기 의지로 북한으로 넘어갔다고 공식 확인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은 이날 국방부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우리 군인 중 한 명이 JSA(공동경비구역)를 견학하던 중 고의로 허가없이 군사분계선을 넘었다”고 밝혔다.

카린 장 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북한 카운터 파트들과 이번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상황을 보고받았고 면밀히 주시하는 사안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의 통화 여부에 대해서는 “남한이든 북한이든 어느 쪽과도 대통령의 통화와 관련해 공개할 내용이 없다”며 “우리는 한국 및 스웨덴 등 동맹과 관여하고 있지만 대통령의 통화와 관련해서는 밝힐 내용이 없다”고 했다. 매슈 밀러 국무부 대변인은 “현역 군인이기 때문에 국방부가 북한 관계자들과 적절한 접촉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의 송환을 위한 북미 간 접촉이 그동안 끊겼던 대화 재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은 평양 여행 당시 장기억류됐다가 미국 송환된 직후 숨진 대학생 오토 웜비어 사건 이후 2017년부터 미국인들의 북한 여행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듬해 5월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이 첫 북미 정상회담 개최 논의 와중에 방북, 당시 억류됐던 한국계 미국인 3명을 데리고 나온 전례도 있다.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담당 부소장은 18일 로이터통신에 “때로 미국 현직이니 전직 관리가 석방을 확보하기 위해 북한에 직접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이번은 자진 월북일 가능성이 높아 상황 예측을 하기 어려운데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는 등 도발 국면에서 송환 관련 접촉이 비핵화 등 본격적인 외교 대화로 확장될 가능성을 기대하기엔 무리라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워싱턴 이재연 특파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