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산지 태양광 급증? 규제강화 이후 대폭 줄어
2018년 규제 강화 이후, 허가 건수 대폭 줄어
최근 이어진 집중호우로 38건의 산지 태양광 발전소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산을 깎아 태양광을 설치해 산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와 달리, 산지 태양광으로 인한 산사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문재인 정부에서 산지 태양광이 대폭 늘어났다는 여당의 지적과 달리 박근혜 정부에서 대폭 늘어났던 산지 태양광 신청은 2018년부터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18일 오후 6시 기준, 총 38건의 산지 태양광 피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충북(22건), 경북(7건), 충남(6건), 전남(3건)으로 총 38건의 피해가 있었다.
특히, 중부지역에 집중된 극한 호우로 인해 충북·경북 등 중부지방에 피해가 집중됐다. 피해 유형별로는 설비 침수(31건), 계통 탈락(5건), 설비 일부 유실(2건)의 사례가 접수됐다. 다만, 산지 태양광으로 인한 산사태는 현재까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그동안 산지 태양광 발전 시설은 산사태 원인의 하나로 거론됐다. 태양광 패널이 햇빛을 최대한 오랫동안 쬘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 이상의 산비탈을 골라 나무를 베어 설치하는 만큼 산사태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2016년 917건이었던 태양광 구축을 위한 산지 전용·산지 일시사용 허가는 2017년에 2384건으로 대폭 늘었다. 이후, 2018년 5553건, 2019년에는 2129건으로 산지 태양광 허가는 활발히 이뤄졌다. 탈원전을 내건 문재인 정부에서 산지 전용·일시사용 허가가 크게 뛰어 재생에너지 확대 여파로 산사태에 취약해졌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산지 태양광 허가 심사 기간이 2∼3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2017년∼2019년 당시 허가는 박근혜 정부에서 대부분 신청이 이뤄졌다. 산지 태양광은 용도지역과 면적에 따라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와 사전재해 영향성, 도시계획심의 (개발행위) 등의 검토·승인을 거쳐야 공사를 시작할 수 있다.
실제 산지 태양광 허가기준은 박근혜 정부에서 대폭 완화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5년 말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2030년 배출 전망치(BAU) 대비 37% 온실가스 감축’을 선언한 이후 산지 태양광은 탄력을 받은 상황이었다. 산지 태양광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0.7에서 1.2로 높인 것이 대표적이다. REC 가중치를 높이면 그만큼 발전사업자의 수익성은 높아진다.
그러나 산지 태양광의 산림 파괴 문제가 드러나면서 문재인 정부인 2018년 6월 산지 태양광 REC 가중치를 0.7로 원상 복구했다. 산지 태양광 설치 경사도 기준도 25도에서 15도로 낮췄다. 이어 2021년 7월에는 0.5로 가중치를 더욱 낮췄다. 이에 따라 급증했던 산지 전용·산지 일시사용 허가도 2020년 445건, 2021년 150건, 2022년 119건으로 대폭 줄었다. 윤석열 정부에서 산지 태양광 REC 가중치는 0.5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다. 임재민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은 “땅도 싸고 개발도 할 수 있어서 산지 태양광 수요가 박근혜 정부에서 대폭 늘어났다”며 “부동산 투기로까지 이어지고 자연 훼손 문제도 불거지면서 문재인 정부에서 규제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산지 태양광은 6월 기준, 총 1만5777개소가 설치됐다. 전체 사업용 태양광 설비(13만2000개)의 약 12%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역별로는 전남(3401개소), 전북(3348개소), 충남(2852개소), 경북(2272개소), 강원(1081개소), 경남(871개소), 충북(749개소) 등에 설치됐다.
박상영 기자 sy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극우 카톡방’ 5곳 잠입 취재해보니…“명찰 없는 경찰, 중국인” “탄핵 죽음으로 막자” 선
- 나경원, ‘헌재 외국인 임용 제한법’ 발의···‘헌재에 중국인 있다’ 음모론 의식?
- 헌재 ‘속도전’에 윤석열 ‘지연 전략’ 와르르…이르면 3월 중순 선고
- [단독]‘우두머리’ 윤석열은 ‘황제 접견’ 중인데…지시 따른 사령관은 두달 간 가족도 못봤
- 김성태, 이철규 저격 “윤석열 망친 간신을 간신이라 했더니 고소”
- [단독]여인형 “방첩사 가장 큰 리스크는 신병 확보 명단 작성”…위법성 미리 알았다
- 배우 이하늬 60억 세금 탈루설…소속사 “고의 누락 아냐, 전액 납부”
- 김종대 “윤석열, 합참 결심지원실 나올 때 술 냄새 났다는 증언” 주장
- [속보]‘구인 예정’ 조지호 경찰청장, 헌재에 탄핵심판 불출석 사유 제출
- 배우 김새론 비보 전한 외신들···“K 엔터 산업의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