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4시 넘어 운영하는 은행점포 되레 줄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도 이용할 수 있는 은행 탄력점포의 수가 올 들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점포는 은행 점포 폐쇄의 대안 및 소비자 편의 증대 방안 중 하나로 꼽히며 지난해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기록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시간 연장 점포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영업시간 외 이용자가 많지 않은 데 비해 교대근무 등으로 가용할 수 있는 인력 및 비용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유지가 힘들어진 곳들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행권 “이용자 감소, 비용 부족”
“은행 공공성 외면·대면편의 훼손”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도 이용할 수 있는 은행 탄력점포의 수가 올 들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점포는 은행 점포 폐쇄의 대안 및 소비자 편의 증대 방안 중 하나로 꼽히며 지난해까지 꾸준히 증가세를 기록했다. 은행권에서는 이용자 감소 및 비용 증가를 폐쇄 원인으로 꼽았지만, 은행들이 ‘공공성’을 외면하고 대면 고객 편의성을 훼손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꾸준히 늘어나던 탄력점포, 올 들어 급감=19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은행이 운영하는 영업시간 탄력점포의 수는 지난달 말 기준 893개로 지난해 말(919개)와 비교해 약 24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점포는 금융소외계층이나 직장인·외국인노동자 등 기존 영업시간에 은행을 방문하기 힘든 고객을 위해 저녁 시간이나 휴일에 운영하는 점포를 의미한다.
주목할 점은 꾸준히 늘어나던 영업시간 탄력점포의 수가 올 들어 감소세를 띄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영업시간 탄력점포 수는 ▷2016년 596개 ▷2017년 673개 ▷2018년 733개 ▷2019년 861개 ▷2020년 870개 등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 2021년(866개)에는 코로나19를 계기로 4개가 감소했지만, 지난해(919개)에만 52개의 점포가 신설되며 900개를 넘어선 바 있다.
탄력점포는 유형별로 ▷관공서 소재 점포 ▷외국인 근로자 특화점포 ▷상가 및 오피스 인근 점포 ▷고기능무인자동화기기(STM) 설치 점포 등이 있다. 주말에 운영되는 외국인근로자 특화점포 등 일부의 경우 영업시간 외 내국인 이용에 제한이 있지만, 대부분 일반 고객이 업무를 볼 수 있는 점포다. 이에 영업시간 외 은행 방문이 필요한 이들이 유용하게 이용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국민은행의 9to6(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영업) 은행이다. 국민은행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충청, 대구, 부산 등 전국 72곳에 탄력점포를 운영 중이다. 국민은행이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9to6 고객의 93%가 ‘편리성을 제공한다’는 응답을 내놨다. 특히 20~40대의 재이용 의향률이 90%가 넘으며, 젊은 층에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은행은 탄력점포 추가 개설 계획도 세운 상황이다.
▶점포 대체하는 ‘자동화기기’도 줄어...은행권, “인력 및 비용 부족해”=그럼에도 올해 탄력점포는 전 유형에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특히 영업점 축소의 대안 중 하나로 여겨지는 고기능무인자동화기기(STM)가 급격한 감소세를 띠었다. 올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이 운영 중인 STM 수는 288개로 지난해 말(300개)과 비교해 12개 감소하며, 전체 감소분의 50%를 차지했다. STM은 금융위원회가 은행의 영업점 폐쇄 시 대체 수단으로 인정하는 요소 중 하나다.
은행권에서는 이용객 감소 및 비용 부담에 따라 특정 점포를 줄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시간 연장 점포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영업시간 외 이용자가 많지 않은 데 비해 교대근무 등으로 가용할 수 있는 인력 및 비용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유지가 힘들어진 곳들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 영업점 수는 5771개로 5년 전 같은 기간(6784개)와 비교해 1013개(1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고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의 대면 접근성을 침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비판이 이어지자 금융당국은 지난 5월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시행하며 무더기 점포 축소에 제동을 걸었다. 그러나 당국 눈치보기에 따른 ‘속도조절’에 그칠 뿐 장기적 감축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도 영업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비대면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무작정 소비자 편의를 위해 돈이 되지 않는 영업점을 유지하라는 방침은 지속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광우 기자
w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산다라박 "과거 톱스타 연하남男 대시…GD가 회사에 소문내”
- 노모에 계좌 달라면서…식사비 9만원 계산 안하고 나간 문신男 일행
- “학생들 앞에서 수십대 맞았다”…초6이 담임女교사 폭행, 전치3주 진단
- 강형욱 '경찰견 출신' 반려견 레오, 지난해 세상 떠났다
- 김준호 "1년 안에 김지민과 결혼하는 게 소원"
- 이웃집 강아지에 소주병 던지고 목줄 흔든 50대女…그 이유가
- “걸리면 여자도 패요”…이웃집 흡연 경고문 ‘섬뜩’
- “생후 이틀 아들 생매장” 자백한 친모…‘범행동기’엔 침묵
- 뺑소니 차에 치여 쓰러진 97세 할머니, 차량 5대가 밟고 지나가
- 30대 여배우, 유부남과 바람나 임신…"부인에 1500만원 배상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