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북극 식물플랑크톤 서식지 변화…"어장도 바뀐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극 바다로 유입되는 강물이 늘면서 북극 해양생물 자원의 분포가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이 연구소 양은진 박사 연구팀은 부경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2016년 이후 북극 축치해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강물의 양을 측정하고 해양 순환과 생태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북극 바다로 유입되는 강물이 늘면서 북극 해양생물 자원의 분포가 바뀔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극지연구소에 따르면 이 연구소 양은진 박사 연구팀은 부경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2016년 이후 북극 축치해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강물의 양을 측정하고 해양 순환과 생태계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그린란드 북동부 바렌츠-카라해에 주로 분포하던 북극 식물플랑크톤의 서식지가 강물이 다량 유입되며 미래에는 동시베리아-축치해로 이동할 것으로 분석됐다.
기후변화로 북극 주변 얼어있던 땅의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전에 없던 많은 양의 담수가 강을 따라 북극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의 일차 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은 그 수가 많을수록 좋은 어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식물플랑크톤 서식지의 변화는 곧 어장의 변화로 이어져, 그린란드 북동부 바다의 어족 자원들이 러시아와 캐나다 북부의 어장으로 이동할 가능성 역시 높을 것으로 풀이된다.
극지연구소는 "북극해 해양생태계에서 주변 지역 강물의 유입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3월에 발간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PCC) 6차 보고서에는 북극 강물 유입 효과가 다뤄지지 않았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반영된다면 미래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환경연구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에 6월 게재됐다.
chach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제주에서 '전설의 심해어' 183㎝ 초대형 돗돔, 낚시로 잡혀 | 연합뉴스
- 광신적 美컴퓨터과학자 집단, 살인 사건 연루…우두머리 체포 | 연합뉴스
- 눈 쌓인 산속서 길 잃은 아버지와 두 자녀…소방, 무사히 구조 | 연합뉴스
- 장병 식사비 몰래 계산해준 중년 남성…"옛날 생각이 나서" | 연합뉴스
- 납치 오해해 택시 뛰어내려 숨진 대학생…80대 기사 무죄 확정 | 연합뉴스
- 홈캠에 범행 고스란히 담겨…이웃주민 상대 성범죄 70대 구속 | 연합뉴스
- 대학 붙었는데 황당한 '입학 취소'…이튿날 학원 동료의 실토 | 연합뉴스
- '대를 이어 바다 지킨다' 제2연평해전 영웅 딸 해군 소위 임관 | 연합뉴스
- 양양 하천서 50대 주민 숨진 채 발견 | 연합뉴스
- 논현동서 레미콘 차량이 횡단보도 보행자 덮쳐 사망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