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전국 곳곳 할퀸 기록적 폭우…추가 비 소식에 긴장

이슬아 2023. 7. 19. 08: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출연: 신현정 연합뉴스TV 기자>

[앵커]

기록적인 폭우로 전국 곳곳에서 수해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14명이 숨진 청주 오송 지하차도 사고와 관련해선 '인재'였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고, 산사태가 발생한 경북 예천에서는 실종자 수색 작업이 한창입니다.

보도국 신현정 기자와 더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 기자, 우선 밤사이 추가 피해 상황 짚어볼까요.

[기자]

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오늘(19일) 오전 6시를 기준으로 낸 집계를 말씀드리면요.

이번 폭우로 현재까지 44명이 목숨을 잃었고 6명이 실종됐습니다.

가장 큰 사망자가 나온 곳은 총 14명이 사망한 오송 궁평지하차도 사고였습니다.

1만 6천 명에 이르는 주민들이 대피했고요. 이 중 4,400명 가량이 임시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항공편은 39편이 결항됐고, 도로 245개소와 하천 809개소가 통제됐습니다.

지난 밤사이 경상권에 많은 비가 내렸는데요. 시간당 30mm~60mm의 비가 온 곳도 있었습니다.

안타까운 사고도 있었는데요.

대전 동구 대전천변에서는 10대가 하천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오늘(19일) 새벽 0시 50분쯤 신고가 접수돼 소방당국이 수색작업이 나섰지만 신고 4시간 만에 시신으로 발견됐습니다.

[앵커]

아직 수해 복구나 실종자 수색이 끝나지 않은 곳들도 있지 않습니까?

관련 내용도 짚어주시죠.

[기자]

네, 우선 오송 궁평지하차도의 경우 수색작업은 지난 17일부로 끝난 상태입니다.

하지만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한 경북 예천에서는 여전히 수색작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실종자 3명이 숨진 채 발견된 상태로, 날이 밝는 대로 추가 수색작업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소방당국을 비롯해 군 장병들까지 수색작업에 투입됐습니다.

지역별 수해복구 작업도 한창입니다.

중대본이 발표한 응급복구 완료율은 오전 6시 기준 58.2%입니다.

복구 작업에는 공무원 600여 명과 자원봉사나 4,500여 명이 투입됐고요.

굴착기와 덤프트럭, 양수기와 같은 장비도 3천 대 가까이 투입됐습니다.

[앵커]

오송 지하차도 사고, 참 안타까운 사고인데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인재라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데요.

경찰은 내부 수습이 끝난 만큼, 전담수사팀을 구성해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 밝히기 위한 수사에 나설 계획입니다.

사고가 발생한 당일이죠.

15일 오전 두 차례 신고가 접수됐지만 교통이 통제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신고 내용은 미호천교 제방이 범람할 것 같다, 궁평지하차도가 물에 잠길 것 같다는 내용으로 실제 이후 현실로 이뤄진 내용들이었습니다.

첫 신고가 접수된 시각이 오전 7시쯤이었고 사고가 발생한 시각이 8시 40분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무려 100분 전에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겁니다.

안타까운 건, 책임 소재를 두고 각 부처별 공방까지 벌어졌다는 건데요.

경찰은 교통 통제 권한이 행정당국에 있다는 입장인데, 행정당국은 지하차도가 관할이 아니라며 선을 그은 겁니다.

결국 컨트롤타워가 없었던 셈인데요.

이번 사고를 두고 국무조정실은 대대적 감찰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모든 관련 기관이 예외 없이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라는 입장인데요.

감찰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예전에도 사실 비슷한 수해 피해들이 많았습니다.

예방하기 위한 법안들도 꽤 많았던 걸로 알고 있는데, 입법 현황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지난해 서울 강남역 일대 침수 피해가 상당했었죠.

장마가 끝난 이후 정치권에서는 비슷한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며 관련 법안들이 쏟아졌습니다.

침수를 예방하기 위해 건물의 규모와 상관없이 물막이판 설치를 의무화하는 내용 등이 담겼는데요.

안타깝게도 이 법안들 중 대부분은 소위원회 단계도 통과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법안을 낸 의원실 관계자에게 문의해보니, 가장 큰 원인은 아무래도 예산이다고 합니다.

국비로 지원하는 부분에 있어서 부처 간 이견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었습니다.

오송 지하차도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었던 하천 관리와 관련된 법안도 여럿 발의된 상태입니다.

주요 지방하천의 경우 국가가 국비를 들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법안과 지하차도와 같은 시설물에 침수 방지시설 의무 설치를 규정한 법안들입니다.

이 법안들도 예산 문제로 국회 문턱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이번 폭우 피해를 계기로 정치권에서는 관련 법안들이 다시 주목을 받아 실제 현장에 적용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앵커]

신 기자, 어제는 비가 잠시 잦아든 곳이 많았는데, 주말을 앞두고 다시 비가 온다고요?

[기자]

네, 많은 비를 뿌린 장마는 오늘(19일) 부터 소강상태에 접어듭니다.

비는 멈추지만 폭염이 찾아옵니다.

중국에서 넘어온 저기압이 남부지방을 지나가면서 이동성고기압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기 때문인데요.

습도가 높은 탓에 일부 지역에선 체감온도가 33도 내외까지 오르겠습니다.

비가 멈춘 만큼 피해 복구 작업과 실종자 수색에 속도를 내야 하지만 폭염이 복병인 셈입니다.

게다가 이번주 금요일인 21일을 시작으로 주말에 또 많은 비를 뿌릴 예정입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21일 낮부터 강원 내륙, 산지와 전라권 내륙, 경남과 경북 내륙에 구름이 많고 소나기가 오는 곳이 있겠습니다.

그 다음날인 22일에는 전국이 대체로 맑지만 경기 동부와 강원 내륙, 산지, 충청권 내륙 등에 소나기가 오는 곳이 있겠습니다.

[앵커]

각 정부부처별로 대비상황은 어떤지 정리해주신다면요?

[기자]

수십 명이 목숨을 잃은 만큼 대통령은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각 정부부처와 지자체가 총력 대응하라고 지시한 바 있는데요.

모든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장마가 완전히 끝날 떄까지 모든 인적자원을 총 동원해 안전관리에 나서겠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댐 수문 방류를 조정해 강 수위를 조정합니다.

농가 피해도 컸던 만큼 농식품부는 현장점검에 나서는 한편 예방요령을 전파합니다.

경찰은 상습침수지역에 대해 교통관리에 나서고 전국 12개 시도청 산하 경찰서에 비상근무를 발령했습니다.

산림청은 산사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 주민들을 사전 대피시키겠다는 계획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오늘(19일)부터 이틀간 각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임시주거시설 합동 점검에 나섭니다.

침수시설 복구가 끝날 때까지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고 이재민 불편신고접수처를 운영해 이재민들의 고충을 덜겠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이번 주말부터 또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폭우를 대비해 각 가정에서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기자]

이번 장마는 예년과 비교했을 때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비가 내린 것이 특징인데요.

그만큼 예측하기가 어려워졌고,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계곡이나 하천의 경우 갑자기 수위가 불어나 범람할 수 있으니 야영이나 출입을 자제해야 합니다.

산사태로 인해 토사가 유출되거나 시설물이 붕괴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위험지역에서는 미리 대피를 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차량이 침수됐을 경우 차량 안과 밖의 물 높이가 비슷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만약 여의치 않을 경우 창문을 통해 신속히 탈출해야 합니다.

반지하 주택은 침수 위험이 높은 만큼 차수판이나 모래주머니를 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침수가 시작됐다면 바로 대피를 해야 하고 감전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보도국 신현정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생방송 만나보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